외신들은 검찰의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에 대해 일제히 경영차질에 대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8일 글로벌빅데이터연구소(소장 김다솜)가 삼성그룹이 검찰수사심의위원회를 신청한 지난 3일부터 7일 오후 10시 30분까지 5일간 이재용 부회장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결과, 이 부회장의 이름이 거론된 게시물은 4783건으로 집계됐다.
분석대상 채널은 누리꾼이 자신의 의견을 직간접으로 게재한 커뮤니티·블로그·카페·유튜브·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모두 11개다.
언론사 기사인 '뉴스' 채널은 국민의 직접적인 여론과는 관련이 없어 조사에서 제외했다는 게 연구소 측의 설명이다. 뉴스를 포함하면 이 부회장이 언급된 게시물은 7114건으로 늘어난다.
연구소 측은 관심도나 호감도만으로 국민 의견을 정확히 알기 어려워 연관어 분석기법을 사용했다고 밝혔다.

포스팅 가운데 언급된 톱30위 내 연관어 수량은 모두 3만4291건이었다.
이재용 부회장 언급 포스팅내 연관어 중 여론과는 직접 관련없는 중립어 2만1611건을 제외한 '선처' 의견 연관어는 7488건, '불관용' 의견 연관어는 5192건이었다.
이들 연관어의 점유율을 살펴보면 가치판단이 배제돼있는 '중립어'를 제외할 경우 선처 의견이 59.05%, 불관용 의견이 40.95%로 국민 10명중 6명의 의중은 선처를 바라고 있다.
연구소 한 관계자는 "기사 댓글의 경우 이재용 부회장 관련 '재판' 기사의 경우엔 이 회장에게 부정적인 경향을 보이지만 감염병 시국 '중국 출장' 등 경영관련 기사의 댓글은 상당히 우호적"이라면서 "댓글 아닌, 국민들이 온라인에 적극 '포스팅'한 글들을 정밀 분석하면 이 부회장이 경영을 계속하기를 바라는 의견이 더 많은 게 민심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소 측은 '이재용'이나 '삼성'과 같이 누가 봐도 객관적인 단어이거나 선처 또는 불관용 의견이 팽팽한 경우 중립어로 선정해 집계에서 제외했다고 설명한다.

이 부회장의 구속영장 청구 소식에 외신들은 일제히 삼성그룹 경영에 차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일본경제신문은 "이재용 부회장 구속 시 그룹의 경영자원이 재판 대책으로 할애돼 중장기적인 전략 수립이 지연되는 등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5일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4일 "삼성과 이재용 부회장이 코로나19 테스트 키트의 생산을 늘리는 등 코로나 사태 해결에 핵심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 부회장만큼 위태로운 사람이 없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어 "삼성은 한국 경제와 국가 정신에 있어 흔치않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한국이 기술 수출 강국으로 변신한 것은 가족이 운영하는 대기업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분석했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는 "이재용 부회장에게 유죄가 선고된다면 대신할 인물이 있을지 불확실하다"고 보도했고, 미국의 AP는 "삼성이 불안정한 반도체 시황과 미·중 무역 분쟁 등으로 고군분투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재용 부회장의 부재는 회사의 의사결정 과정에 피해를 줄 것"이라고 밝혔다.
프랑스 AFP는 "(이재용 부회장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진다면 삼성은 가장 중요한 결정권자를 잃을 수도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삼성 측은 형사소송법 규정상 이재용 부회장은 구속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형사소송법 제70조는 ①일정한 주거지가 없거나 ②증거인멸 염려가 있거나 ③도주의 염려가 있는 경우에 한해 구속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법원은 구속사유를 심사할 때 범죄의 중대성과 재범의 위험성, 피해자와 중요 참고인 등에 대한 위해 우려를 고려한다.
삼성 측은 “이 부회장은 주거지가 일정하고, 최근 시민단체가 자택 앞에서 '삼겹살 파티'를 열 정도로 그 위치까지 일반에 알려져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부회장은 한국을 대표하는 최대기업의 총수로서 기업을 팽개치고 도주할 가능성도 전혀 없다”며 “검찰 측 주장대로 범죄혐의를 입증할 충분한 증거가 이미 확보돼 있는 상태라면 증거인멸 염려가 있다고 볼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