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한화생명, 미래 경쟁력 위해 디지털 중심 조직개편...김동원 상무 진두지휘
상태바
한화생명, 미래 경쟁력 위해 디지털 중심 조직개편...김동원 상무 진두지휘
  • 문지혜 기자 jhmoon@csnews.co.kr
  • 승인 2020.06.15 14: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화생명이 미래경쟁력을 위해 디지털 중심으로 조직개편을 실시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차남이자 한화생명에서 최고디지털전략책임자(CDSO)를 맡고 있는 김동원 상무의 주도로 기존의 관리 중심 조직에서 성과 중심 및 프로젝트 중심의 조직체계로 개편했다.

한화생명에 따르면 이전 13개 사업본부 50개 팀에서 15개 사업본부, 65개 팀으로 변경됐다.

15개 사업본부 중 9개가 디지털 및 신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로 꾸려졌다. 65개팀 가운데 39개팀이 포함되는 등 약 60%에 달하는 인원이 신사업 영역으로 개편된 셈이다. 전체 임원 56명 중 22명이 디지털 및 신사업을 맡게 된다.

이는 코로나19가 가져온 언택트 시대로의 환경변화, 제로 금리 현실화,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 대외환경 변화에서 보험시장 포화, 대형GA의 시장 지배력 확대, 카카오·토스 같은 ICT 기업의 금융업 진출까지 보험업을 둘러싼 경쟁 심화에 따라 스피디하고 유연한 조직으로의 전환을 통한 시장대응 강화로 풀이된다.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도 올해 신년사에서 “전사차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해 4차산업혁명시대의 경쟁력을 적극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개편된 조직체계에서는 직급에 상관없이 주어진 과제(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하고 전문성 있는 사람이 프로젝트 리더가 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리더에게는 성과 창출에 필요하다면 임원도 프로젝트 조직의 팀원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한화생명은 디지털 전환에서 뒤쳐지면 미래를 선점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기술전략실, 빅데이터실, OI추진실, MI실 등 신사업 발굴을 위한 미래 지향적 조직으로 개편해 급변하는 사회적 트렌드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으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술전략실’은 미래 인슈어텍 핵심 역량 강화를 통해 디지털 기술과 융합된 보험사로서의 체질 변화에 중점을 두고, ‘빅데이터실’은 빅데이터에 기반한 고객분석과 이를 토대로 디지털 기반의 고객관리를 추진한다.

‘OI(Open Innovation)추진실’은 신규 아이템 발굴, 개발 중인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사업화 검증을 통해 신사업 추진력을 높이고, ‘MI(Market Intelligence)실’은 국내외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전사에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외에 전통적 대면채널인 영업분야에서도 변화하는 디지털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을 구축했다. 앞으로는 설계사가 보험사 점포에 출퇴근 하지 않고 스마트 기기만으로도 보험 영업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이다.

이 같은 조직개편은 한화생명 CDSO 김동원 상무가 주도하고 있다. 한화생명은 이번 조직개편 이전에 KPI에서 OKR로 성과관리체계를 바꾸면서 사전 준비를 다져왔다.

올해 초 한화생명을 비롯한 금융계열사는 새로운 성과관리체계인 OKR(Objective and Key Results)을 도입했다. OKR은 구글, 페이스북 등 디지털 기업이 도입한 모델로 환경 변화에 민첩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디지털 혁신 시대에 가장 적합한 지표로 평가 받고 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김동원 상무는 작년 8월부터 한화생명의 최고디지털전략책임자(CDSO)를 맡아 디지털정책과 업무를 주도하고 조언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며 “작년까지 다보스포럼, 보아오포럼, 머니 2020 아시아 회의 등 국제행사에 꾸준히 참가해 세계 유수의 핀테크 업체 대표들과 만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해 왔다”고 설명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문지혜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