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세대의 핵심 계열사 주식자산 확보가 가장 활발히 이뤄진 곳은 대림으로 5년 전에 비해 65.0%포인트 상승했다. 이어 한진, OCI, 호반건설, 한국테크놀로지그룹 등 총 13개 그룹에서도 자녀세대의 주식자산 비중 상승폭이 컸다.
LG와 한진, 대림, 호반건설 등 4곳은 5년 새 자녀세대 주식자산 규모가 부모세대를 넘어섰다.
2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지난 5년간 공정거래위원회 지정 총수가 있는 55개 대기업집단 총수일가의 지배구조 핵심 계열사에 대한 지분가치 변화(2014년 말~2020년 8월 말 기준)를 조사한 결과, 자녀세대의 비중이 커진 곳은 총 30개 그룹(55%)으로 집계됐다.
총수일가가 보유한 그룹 핵심 계열사 주식자산에서 자녀세대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곳은 대림이었다. 2014년 핵심 계열사인 대림코퍼레이션의 총수일가 주식자산(7780억 원) 중 65%를 이준용 대림산업 명예회장이, 나머지 35%를 이해욱 대림산업 회장과 이해승씨가 가지고 있었다. 현재는 총수일가 주식자산의 100%를 자녀세대가 보유하고 있다. 이해욱 회장의 대림코퍼레이션 지분율은 52.3%다.
대림에 이어 한진 46.2%p, OCI 41.2%p, 호반건설 32.5%p, 한국테크놀로지그룹 31.9%p, LG 29.9%p, LS 23.6%p, 현대자동차 22.8%p, 현대중공업 16.5%p, CJ 16.2%p, 효성 15.0%p, 한화 14.4%p, 다우키움 14.1%p 등도 자녀세대 비중이 눈에 띄게 커졌다.

5년 새 자녀세대 주식자산 규모가 부모세대를 뛰어넘은 그룹은 LG와 한진, 대림, 호반건설 등 4곳이다.
LG와 한진은 기존 동일인의 사망으로 승계가 이뤄졌고, 대림과 호반건설은 자녀세대가 지주사 등 핵심 계열사의 지분 확보를 통해 주식자산 비중을 높였다.
호반건설의 경우 2018년 ㈜호반건설이 ㈜호반을 흡수합병하면서 자녀세대인 김대헌 부사장이 ㈜호반의 주식을 ㈜호반건설 주식으로 교환받으면서 지분율 54.7%의 단일 최대주주로 올랐다. 이에 따라 총수일가 주식가치(2조5878억 원)의 71.9%(1조8615억 원)를 김대헌 부사장이 보유하고 있다.
대림과 롯데, 한국테크놀로지그룹은 핵심 계열사 주식자산을 100% 자녀세대에서 보유하고 있다.
태영, 현대백화점, 삼성, KCC, 애경, 효성, 한진, 두산, 동원, 호반건설, 세아, DB, 한화, 금호석유화학, LG 등 15개 그룹은 자녀세대 주식자산 비중이 50% 이상이다.
반대로 미래에셋을 비롯해 카카오, 한국투자금융, 네이버, 셀트리온, 넷마블 등 14개 그룹은 부모세대의 주식자산 비중이 100%였다.
CEO스코어는 “55개 대기업집단 동일인의 경우 2014년은 평균 1.7세로 창업 1세와 2세 등 부모세대 위주였지만 올해는 평균 2.0세로 세대 전환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비롯해 구광모 ㈜LG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이해욱 대림산업 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 윤석민 태영그룹 회장, 김남정 동원그룹 부회장 등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