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대한항공은 2020년 잠정 영업실적을 공시하며 매출 7조4050억 원, 영업이익 2383억 원, 당기순손실 2281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여파로 여객수요가 감소하면서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40%가 줄었다. 특히 여객 매출은 전년 대비 74% 감소했다.
하지만 화물기 가동률을 높이고 유휴 여객기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으로 화물 매출 4조2507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2019년 2조5575억 원과 비교해 66% 는 숫자다.
코로나19 진단키트, 자동차 부품 수요가 증가했고, 일부 해운수송 수요가 항공수송으로 몰리면서 항공 화물 매출의 증가폭을 이끌었다.
영업흑자 달성은 화물사업부문 선방과 전사적인 생산성 향상 및 비용절감 노력이 어우러져 가능했다는 설명이다.
여객 공급 감소 및 유가 하락에 따라 연료 소모량과 항공유 비용이 낮아졌으며 여객 운항 감소로 시설 이용료 등 관련 비용이 줄었다. 또 임직원이 순환 휴업에 들어감에 따라 인건비도 감소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영업비용을 2019년 대비 40% 가량 줄일 수 있었다.
순이자비용 등의 영향으로 2281억 원의 당기순손실이 발생했지만, 전년도 5687억 원의 당기와 비교하면 손실 폭은 줄었다.

특히 오는 3월 예정된 3조3000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로 자본을 확충해 유동성 확보 및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한 자금 조달 문제도 해결할 계획이다.
다만 올해도 임직원의 순환휴업은 지속된다. 또 자구안의 핵심인 송현동 부지 매각도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올해 항공화물 시장 회복세가 예상되는 만큼 항공화물 공급을 탄력적으로 조절하고 시장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등 항공화물 사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 코로나19 백신수송 태스크포스를 운영해 2분기부터 백신 수송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다.
항공여객은 시장 정상화를 속단하기 어려운 만큼 올해 하반기까지 여객 공급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할 예정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승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