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현대건설, 3D프린팅 '비정형 거푸집' 시공기술 개발
상태바
현대건설, 3D프린팅 '비정형 거푸집' 시공기술 개발
  • 김승직 기자 csksj0101@csnews.co.kr
  • 승인 2021.02.08 10: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건설은 미래 건설기술 확보를 위해 대형 복합소재 3D프린팅 비정형 거푸집 시공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현대건설은 2019년부터 대형 3D프린팅 전문업체 쓰리디팩토리와 복합소재 3D프린팅 연구를 진행했다.

복합소재 3D프린팅은 저강도 플라스틱, 고강도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 여러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두 가지 이상 재료를 혼합해 새로운 소재로도 제작 가능하다. 이를 활용하면 제작비용이 많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기존 거푸집 소재(합판·스틸)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복합소재 3D프린팅 비정형 거푸집 제작기술은 산업용 대형 3D프린터를 사용해 출력과 동시에 표면 가공이 가능하다. 가공오차를 최대 0.001㎜ 이내로 줄일 수 있으며 가로 2.5m, 세로 5m, 높이 1.5m 크기의 거푸집을 한 번에 제작해 기간 단축 및 경제성·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밖에 현대건설은 첨단 기계식 터널 굴착 공법인 TBM의 세그먼트 제작에 사용되는 거푸집에도 3D프린팅 기술을 적용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현대건설은 복합소재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비정형 조경구조물 제작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지난해 7월 관련 특허를 출원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 입주한 ‘힐스테이트 레이크 송도 2차’에서 국내 최초로 비정형 조경구조물인 옥외용 벤치를 제작했다. 각기 다른 형상으로 이뤄진 약 200개 부재를 3D프린팅으로 적층·가공해 제작했다는 설명이다.

현대건설은 ‘디에이치’ 브랜드 조경구조물 제작에도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할 계획이다.

현대건설 기술연구소 관계자는 “대형 복합소재 3D프린팅 기술개발을 계기로 향후 건설업계의 패러다임 변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승직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