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경기도, ‘해양 수산물 안전성 조사’ 지속 강화
상태바
경기도, ‘해양 수산물 안전성 조사’ 지속 강화
  • 김민국 기자 kimmk1995@csnews.co.kr
  • 승인 2021.03.10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가 항생물질, 중금속, 방사능 등의 유해물질로부터의 수산물 안전성 조사를 지속해서 강화하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경기도 해양수산자원연구소는 지난 2016년 ‘수산물 안전성 조사’와 관련한 조례를 제정한 이후, 도내 생산 수산물에 대한 안전성 조사를 매년 실시하고 있다.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간 실시한 안전성 조사는 1800여 건에 이른다. 조사 횟수도 2016년 292건, 2017년 323건, 2018년 317건, 2019년 419건, 지난해 452건으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엔 ‘경기도 안전 먹거리 명품수산물(G+Fish)’을 포함한 양식 수산물 245건, 해면어획물 142건, 내수면어획물 65건을 대상으로 수산물 안전성조사 검사항목 기준 46항목에 대한 유해물질 잔류량 기준치 초과 여부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불량수산물 3건(동자개 2건, 미꾸라지 1건)은 ‘농수산물품질관리법’에 따라 폐기, 출하연기 조치했다. 출하 연기된 미꾸라지 양식장 1곳은 올해 재조사를 통해 안전성이 확인될 경우 조치를 해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연구소는 수산종자에 대한 안전성 조사도 진행하고 있다. 수산종자가 다 자랄 때까지 체내에서 유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잔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오염이 우려되는 하천과 한강 하구에서 어획되는 수산물에 대한 중금속 조사도 병행하고 있다. 도의 새로운 소득 품종으로 육성 중인 새꼬막에 대해서도 지난달 중금속, 방사능 등의 잔류량을 조사해 안전성을 확보했다.

이상우 경기도해양수산자원연구소장은 “앞으로도 도내 수산물 안전성을 철저하게 관리해 도민에게 안전한 수산물이 공급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민국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