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해외 기업결합심사 대응에 전사적 자원 총동원
상태바
대한항공, '아시아나 합병' 해외 기업결합심사 대응에 전사적 자원 총동원
  • 김강호 기자 pkot123@csnews.co.kr
  • 승인 2022.05.23 17: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M&A)과 관련해 가용한 전사적 자원을 총동원해 해외 기업결합심사에 대응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대한항공은 각국 경쟁당국으로부터 조속한 기업결합 승인을 받기 위해 5개 팀 100여 명으로 구성된 국가별 전담 전문가 그룹을 운영, 맞춤형 전략을 펼치고 있다.
  
올해 3월까지 기업결합심사 관련 자문서 선임비용 350억 원을 지출해 ▲해외 경쟁당국의 심사 진행현황을 총괄할 ‘글로벌 로펌 3개사’, ▲각국 개별국가 심사에 긴밀히 대응하기 위한 ‘로컬 로펌 8개사’ ▲객관성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경제분석업체 3개사’ ▲협상전략 수립 및 정무적 접근을 위한 ‘국가별 전문 자문사 2개사’와 계약해 각국의 경쟁당국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대한항공 보잉787-9
▲대한항공 보잉787-9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기업 결합 심사는 국내를 포함해 총 14개 국가 중 8개 국가의 승인을 받았다. 지난해 2월 터키를 시작으로 5월 태국, 6월 대만, 11월 베트남으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올해 2월에는 국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 현재 6개 국가의 승인이 남았으며 필수 신고 국가 중에서는 미국, EU, 중국, 일본의 심사가 그리고 임의 신고 국가 중에서는 영국과 호주의 승인이 남았다.

현재 미국, EU, 영국, 호주 경쟁당국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결합 전과 유사한 경쟁 환경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신규 항공사의 진입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한항공은 국내·외 항공사를 신규 항공사로 유치하기 위해 최고 경영진이 직접 해외 현지를 방문, 협력관계가 없던 경쟁사들에게까지 신규 진입을 적극적으로 설득하고 있다.

대한항공은 이번 인수 합병이 국가 기간산업 정상화 및 소비자 편익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점을 강조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대한민국 항공산업은 연관산업을 포함해 국내총생산(GDP)의 약 3.4%(54조원)을 차지한다. 연관 일자리만 해도 84만 개에 달하는 국가 기간산업이다. 양사의 통합 추진은 대한민국 항공산업의 생존 및 일자리 보존을 위해서 필요하다. 현재 2개 이상의 대형항공사(이하 FSC)를 운영하는 국가는 인구 1억 명 이상이면서 국내선 항공시장 규모가 자국 항공시장의 50% 이상인 국가 또는 GDP 규모가 큰 국가들이다. 자국 내 항공산업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기본적 환경을 갖춰야 2개 이상의 FSC를 운영할 수 있다. 이런 환경이 갖춰지지 않은 대한민국에선 2개의 FSC로는 생존이 불가능하다"라고 밝혔다.

또한 "이번 인수 합병으로 여객·화물 스케줄을 다양화를 통한 선택의 폭 확대, 비용 절감을 통한 운임의 합리화, 규모의 경제를 통한 투자여력 확대에 따른 신규 취항지 증가, 화물 터미널 통합을 통한 물류 흐름 개선 등 소비자 편익이 대폭 증가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덧붙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강호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