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 상환 용도로 매년 수 백억 원을 수협중앙회에 배당했던 수협은행도 상환부담이 사라져 신규 투자 및 자본 적정성 개선도 기대할 수 있게 됐다.
◆ 공적자금 이슈 사라져... 자본적정성 개선·신규 투자여건 개선 기대
금융권에 따르면 공자위는 지난 23일 수협중앙회의 공적자금 조기상환과 국채 상환을 주요 안건으로 논의했고 수협 측이 요구한대로 공적자금의 국채 상환 요구를 승인했다.
채권자 보호절차가 약 3개월 정도 예상된 가운데 이후 국채 매입이 이뤄져 올해 내로 공적자금 상환이 완료될 예정이다.
수협중앙회는 지난 2001년 1조1581억 원 상당의 공적자금을 받았고 지난 2016년부터 수협은행의 배당금을 전액 공적자금 상환에 투입하고 있다. 현재 잔여 공적자금 상환액은 약 7500억 원 규모다.
공적자금 상환 로드맵에 따르면 오는 2028년까지 분납 형태로 상환해야하지만 국채 매입으로 한 번에 상환이 가능해졌다. 수협중앙회가 보유한 현금과 자산매각 그리고 수협금융채 발행으로 국채 매입 자금을 조달할 것으로 알려져있다.

공적자금 상환이 종료되면 수협은행은 타 은행 대비 낮은 자본적정성 개선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작년 말 기준 수협은행의 보통주자본비율(CET1)과 BIS비율은 각각 10.92%와 13.84%를 기록하며 국내 은행 중에서 가장 낮았지만 공적자금 상환으로 자본 확충이 쉽지 않았다. 하지만 공적자금 상환이 완료되면 추가 자본 유출 우려가 적어 자본적정성 지표 개선이 기대된다.
같은 맥락에서 수협은행의 신규 투자도 과거보다 자유로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협은행은 상환 목적으로 수협중앙회에 배당금을 지급해 내부유보 및 신규 투자에는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다.
◆ 11월 임기만료 김진균 행장... 내부출신 첫 연임 가능할까?
'공적자금 상환'을 최우선 목표로 지난 2020년 말에 소방수로 투입된 김진균 수협은행장의 어깨도 한층 가벼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 행장은 수협중앙회 공채로 입사한 첫 내부 출신 행장이다.
수협중앙회는 '영업통'이었던 김 행장을 2년 임기의 은행장으로 임명했다. '3년 임기'를 보장 받은 전임 행장에 비해 임기가 짧았지만 김 행장은 부임 후 수익성 개선에 성공하고 디지털 중심의 체질 개선 작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수협은행의 지난해 세전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21.7% 증가한 2843억 원을 기록하며 반등에 성공했고 올해 1분기 세전순이익도 전년 대비 24% 늘어난 842억 원으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 11월 초 임기 만료를 앞둔 김 행장 연임 가능성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2016년 출범 이후 은행장 연임 사례가 없지만 견조한 실적으로 보였고 공적자금 상환으로 인한 지배구조 개편 가능성도 중요한 변수다.
현재 수협은행 행장후보추천위원회는 기재부·해수부·금융위 추천 인사와 수협중앙회 추천 인사 2명이 포함되어있다. 공적자금 이슈로 인해 정부 측 입김이 강한 편이지만 공적자금 상환으로 인해 지배구조 변화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정부 입김이 과거보다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다만 지배구조 개편 여부는 시기상조라는 분위기다. 공적자금 상환을 위한 국채 매입이 진행된 이후 논의 및 법 개정 등 후속조치가 논의될 것으로 보고 있다.
수협중앙회 관계자는 "현재 재무적인 기준 외에 지배구조 문제는 고려대상이 아니다"라면서 "수협법 개정 등 법률적 문제도 있어 아직 구상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