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국제 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포스코홀딩스의 기업신용등급을 ‘BBB+’에서 ‘A-’로 한 단계 상향했다.
2012년 이후 10년 만에 ‘A-’ 등급이 됐다.
S&P는포스코홀딩스의 실적이 글로벌 경기둔화와 철강수요 완화에 따라 다소 감소할 것이지만 고부가제품 비율이 높은 프로덕트 믹스와 한국에서의 견고한 시장지배력 등이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2022년과 2023년에 약 8조~11조 원의 EBITDA(상각전 영업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EBITDA 대비 조정 차입금 비율에 대해서도 2020년 1.5배에서 2021년 0.7배로 현저히 개선됐고, 향후 24개월 동안도 0.8~1.4배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차전지소재, 수소사업 등 포스코홀딩스가 추진하고 있는 신성장 사업에 대한 투자도 내부적으로 충분히 조달 가능할 것이라고 평가하며 향후 등급 전망도 ‘안정적(Stable)’으로 제시했다.
S&P는 3월 신설된 철강 사업회사 포스코에도 신용등급 ‘A-‘를 처음 부여했다.
포스코는 여전히 포스코그룹의 실적에 상당 부분을 기여하면서 그룹내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지속하고 있으며 향후 2년간 EBITDA 대비 조정 차입금 비율도 0.4배~0.8배를 유지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포스코의 EBITDA 마진율이 글로벌 철강업계에서 가장 높고 안정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