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과 5월 선제적으로 시행한 가계대출 금리인하에 이은 후속 방안으로 이번 대책을 통해 사회적 취약계층을 비롯한 취약차주의 금융부담을 덜어준다는 방침이다.
개인고객의 주거비용을 낮추기 위한 주택관련 대출 금리 할인과 소상공인 등 기업고객 대상 금융지원책도 함께 추진된다.
우선 지난 4월 시행한 주택담보대출 및 전세자금대출에 대한 한시적 인하(주택담보대출 최대 0.45%p, 전세자금대출 최대 0.55%p) 조치도 별도 안내시까지 연장되고 주택담보대출 혼합금리형 신규 고객에게는 우대금리 연 0.2%포인트가 적용된다.
저소득 근로자와 영세 사업자 등 제도권 금융소외계층 대상 서민금융지원 대출 상품의 신규 금리도 1%포인트 인하한다. 대상 상품은 'KB 새희망홀씨Ⅱ'와 'KB 사잇돌 중금리대출', 'KB 행복드림론Ⅱ', 'KB 징검다리론'까지 총 4종이다.
사회적 취약계층 금융지원을 위해 주택관련 대출 신청시 장애인 고객에만 적용된 유대금리 대상을 사회적 취약계층으로 확대되었다. 우대금리폭도 기존 0.1%포인트에서 0.3%포인트로 인상됐다.
청년 및 신혼부부를 비롯한 서민 주거비용 경감을 위해 올해 말가지 전세보증금반환보증에 대한 보증료를 지원한다고 은행 측은 밝혔다.
대상은 KB국민은행 전세자금대출 신규 신청시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고객이고 대상 목적물은 서울 및 수도권은 임차보증금 3억 원, 지방은 2억 원 이하 주택이다. 보증료 지원은 최초 계약기간 이내에서 최대 2년이다.
소상공인 지원책의 경우 지난 5월부터 '장기분할 전환 프로그램'을 조기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금융권 만기연장·상환유예조치' 종료에 대비해 해당 기업이 대출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시 최장 10년 간 분할상환이 가능하다.
또한 고금리 대출을 이용중인 SOHO 고객들에게 대출 기한연장시 최고 연 2%포인트 우대금리도 제공된다. 대상은 대출금리 연 7% 초과 대출 차주라고 은행 측은 설명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취약차주 보호와 가계 및 기업에게 실질적인 금융 지원을 제공하고자 금융소비자 지원 강화 프로그램을 마련했다"며 "이번 프로그램이 취약차주를 비롯한 금융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