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한정 의원실이 법원행정처에서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개인파산 신청은 올해 상반기 2만553건으로 예년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60대 이상 고령층 파산이 크게 늘고 있다는 점이다. 개인 파산 신청자 중 60대 이상 비중은 코로나19 직전이었던 2019년 말 27.7%에서 올해 상반기 말 기준 37.7%로 10%포인트 상승했다.
고령층 파산 비중의 증가는 자산 대부분이 실무자산에 편중돼 처분 가능 소득 부족으로 자영업에 뛰어든 경우가 많은데서 비롯된다는 것이 김 의원실 측 분석이다.
60세 이상 자영업자수는 2019년 176만 명에서 지난해 8월 말 기준 193만 명으로 증가했다. 동일 기간 전체 자영업자가 561만 명에서 555만 명 감소한 것과는 반대의 결과다. 60대 이상 고령층 자영업자 비중도 같은 기간 31.4%에서 34.8%로 3.4%포인트 상승했다.
이 때문에 김 의원실 측은 금융권 만기연장·상환유예 조치가 9월 말 종료되면 고령층 파산자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있다.
김 의원은 "고물가·저성장의 스태그플래이션에 고금리, 고환율로 서민 경제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면서 "특히 자영업에 많이 뛰어든 60대 이상 고령층의 개인 파산이 급증하고 있어 사회 안정을 해칠 우려가 있다"고 주장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