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계푸드는 28일 오전 데블스도어 센트럴시티점에서 '베러미트 신제품 론칭·비전 설명회'를 열어 캔햄 신제품 '베러미트 식물성 런천'을 선보이고 베러미트를 통해 국내외 대안육 시장을 적극 육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대안육은 맛과 식감, 형태를 소, 돼지고기 등의 고기와 흡사하게 만든 식물성(Plant-based) 기반의 인공 고기다. 대체육으로도 불리는데 채식주의자(Vegetarian)와 그린슈머가 전 세계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시장이 급부상 중이다. 비건은 그린슈머는 환경을 상징하는 그린(Green)과 소비자를 뜻하는 '컨슈머(Consumer)'를 합친 신조어로, 친환경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를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신세계푸드를 비롯해 풀무원과 농심, 현대그린푸드, 아워홈, CJ제일제당 등이 일찌감치 진출한 상황이다. 이들 업체는 아직 초기 단계인 대체육 시장을 오랜 노하우와 기술력으로 선점하는 데 성공해 시장 규모를 키우면서 글로벌 식품기업으로 재도약하겠다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다.
송현석 신세계푸드 대표이사가 연단에 서서 베러미트의 사업 비전과 마케팅 전략을 소개했다.

송현석 대표는 "지금까지 해왔던 공장식 사육과 식품첨가물을 활용한 제품 생산을 계속 방치한다면 인류 건강과 동물, 지구환경이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베러미트를 고기 대체재가 아닌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대안재(代案材)로 알리기 위한 활동을 펼치며 대안식품 시장 육성에 나서겠다"고 강조했다.
신세계푸드가 영위하는 급식, 외식 등 각종 사업에도 베러미트 활용을 확대한다. 이를 위해 유명 셰프들과 협업해 베러미트 샌드위치, 샐러드 등의 메뉴를 개발 중이다.
이렇게 만들어진 메뉴는 △SK텔레콤과 SK하이닉스, 서울시 등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실천 의지가 높은 단체들 △현재 진행 중인 대안육 급식 캠페인 '베러데이(Better Day)' △노브랜드 버거 등 자사 외식 브랜드를 통해 올 하반기부터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송 대표는 "미국 테슬라가 전기차를 처음 선보였을 때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 업체들은 불편함을 표했다. 지금은 포르쉐도 전기차를 내고 있다. 후발주자였던 현대자동차는 전기차로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을 석권하고 있다. 우리는 훨씬 더 좋은 성분으로 베러미트 가공육 제품을 만들고자 한다. 여기에 수많은 식품회사가 동참한다면 전기차처럼 건강과 환경에 더욱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말했다.
신세계푸드는 이날 설명회에서 미국에 설립하는 대체육 자회사 베러푸즈(Better Foods)의 '더 나은 식품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든다'는 비전을 담은 캔햄 신제품 '베러미트 식물성 런천'도 선보였다.
'베러미트 식물성 런천'은 대두단백, 식이섬유 등 100% 식물성 원료로 만들었으며 기존 고기들의 맛과 식감을 최대한 유사하게끔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동물성 가공육 캔 햄을 먹을 때 고민하는 동물성 지방과 콜레스테롤뿐 아니라 식품 첨가물로 논란이 끊이지 않는 아질산나트륨에 대한 걱정을 덜고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는 게 신세계푸드 측 설명이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에 문을 연 식물성 정육 델리 '더 베러(The Better)'에서 오는 8월 1일부터 '베러미트 식물성 런천'을 소비자들에게 판매한다. 이후 베러미트의 사회적 가치에 공감하는 F&B(Food&Beverage, 음료와 마실 것)·유통업체와 손잡고 '베러미트 식물성 런천' 판매를 확대하면서 소비자 캠페인 '베러 라이프 소사이어티(Better Life Society)'를 펼치며 국내외 대안육 시장을 키워간다는 방침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