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15일 오전 이복현 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해 미국 기준금리 인상 이후 금융시장 동향과 대내외 리스크 요인을 점검했다.
이 원장은 "최종 금리 수준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면서 "미국의 통화긴축 기조가 상당기간 유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기업 및 가계 부담이 가중되고 금융시스템 변동성도 커질 수 있어 이에 대해 철저히 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되었던 과거 사례에서는 외국인 자금의 급격한 유출은 없었다"면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외국인 투자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 2005년 8월부터 26개월 간 최대 100bp 역전시 외국인 자금 순유출 규모는 6000억 원이었지만 올해 8월부터 11월까지 똑같이 100bp 역전시 오히려 1조5000억 원 순유입됐다.
금감원은 연말 자금시장 특수성을 감안해 비정상적인 자금 쏠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속 점검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향후 경제, 금융상황 악화에 대비해 금융상황 일일 모니터링을 유지하고 퇴직연금 연말 이동상황과 역머니무브 및 자금조달 과당경쟁 등 금융회사별 특이사항 등을 조기에 파악해 철저히 관리해달라"고 밝혔다.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한 제2금융권 자금유출 우려에 대해서도 금감원은 현재 손실흡수능력은 양호하지만 경기상황 악화를 가정한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견조한 자본비율이 유지되도록 점검하고 자본확충을 유도할 계획이다.
이 원장은 "금융회사의 자금조달과 운용상황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충분한 유동성을 갖추도록 관리해달라"면서 "은행의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토대로 일시적 자금애로 기업에 대해 정상화를 지원하도록 여신시스템의 실효성도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