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경기도민의 고령화로 신체·정신·사회적 기능이 저하되더라도 지금껏 살아온 지역에서 계속 거주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 이용체계에 대한 기대가 생겨나고 있다”며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 추진에 있어서 개선돼야 할 부분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별 의료서비스 제공 역량 격차가 너무 심하다는 현실을 감안하면,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 거주 제도 정착을 위해 경기도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아동돌봄체계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사업이 효과적으로 구성되기 위해서는 아동돌봄에 있어서도 지자체-교육청-학교 협력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개선을 위해 경기도형 사회복지 종사자 표준임금체계 도입, 처우개선비 인상, 31개 시군 사회복지처우개선위원회 운영 등에도 관심을 촉구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