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은 오는 11월 임기가 만료되는 윤종규 회장 후임자 선정을 위해 이 달 중으로 1차 롱리스트를 구성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원장은 29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KB금융지주 회장 선임 절차가 업계의 모범이 되는 절차가 되길 바란다”면서 “그런 의미에서 평가기준이나 후보들에 대한 공평한 기회 제공 등이 합리적으로 이뤄졌으면 한다”고 말했다.

우리카드를 시작으로 2금융권으로도 상생금융 바람이 번지기 시작한 것에 대해서 이 원장은 적극 지지하는 스탠스라고 입장을 밝혔다.
이 원장은 “비은행권은 현업 내에서 회사마다 수익성이나 건전성 상황, 내부 포트폴리오 등이 달라 일률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 “우리카드에서 먼저 발표를 해주셨지만 여력이 있는 다른 금융회사에서 제안을 해주신다면 금융당국이 지지한다는 말씀을 드리는 정도”라고 말했다.
최근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부당이득에 대해 최대 2배까지 과징금을 부과하는 자본시장법 개정안에 대해 이 원장은 법안 통과를 기대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정무위 통과 법안에 대한 추가 수정안 등을 마련해 법사위원님들께 설명을 드리는 노력을 최근 며칠 간 해왔고 저희 입장에서는 기대가 있다”면서 “일련의 지적들은 우리 자본시장법 체계를 조금 더 합리적이고 예측 가능성 있게 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이런 과정을 통해 향후 법 통과시 집행이 잘 될 수 있다고 기대한다”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은행권에서 발표한 상생금융안의 진척 상황에 대해서도 이 원장은 최대한 3~4분기에 조기 집행될 수 있도록 금융권과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현재 파악되고 있는 은행권 상생금융방안 규모는 여신 기준 135조 원, 혜택 기준으로는 9128억 원으로 이 중 집행 금액은 여신 기준 24조 원, 혜택 기준으로는 2063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원장은 “금융권의 노력에 대해 감사드리지만 실제로 약 20% 내외 정도만 집행된 상황이고 조기에 집행될 수 있으면 하는 바람은 있다”면서 “다만 상생 프로그램 중에서 소비자들이 신청해주셔야 가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들도 있다는 점에서 협회와 함께 적극적으로 전파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