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은 19일 오전에 열린 중소기업·소상공인 간담회에서 "작년부터 시작된 급격한 금리인상과 경기부진 지속 등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어려움이 계속되고 있다"면서 "이자상환부담 증가로 취약차주 중심으로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되면서 부실이 확대되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이 원장의 지적대로 올 들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 연체율이 급상승하는 추세다. 전 금융권 개인사업자 연체율은 지난 2021년 말 0.43%에서 올해 3월 말 0.86%로 2배 상승했고 은행권 중소법인 연체율도 작년 6월 말 기준 0.30%에서 올해 3월 말 기준 0.45%로 1.5배 상승했다.

이어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차주가 어려운 시기를 넘길 수 있도록 금융권이 적극 도와줌으로써 장기적으로 함께 상생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 날 간담회에서 은행권과 상호금융권은 이미 계획된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있다며 적극 화답했다.
기업은행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대한 실질적 지원을 위해 3년 간 총 1조 원 규모의 금리감면을 추진 중이고 워크아웃 진행 시 주 채권은행과 여타 채권은행 간 협조가 강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농협중앙회 역시 상환유예 차주를 위한 자체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농협중앙회는 ▲장기 분할상환 상품 대환 ▲만기연장, 원금·이자유예 ▲금리우대 지원 등의 프로그램을 현재 운영하고 있다.
이 원장은 "채무상환 의지는 있으나 일시적 유동성 어려움에 처한 차주가 정상화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금융회사 입장에서 적극적인 리스크관리 및 장기적은 수익기반 강화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면서 "다양한 지원 노력이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집행되도록 금융권의 세심한 관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