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현대차그룹, 국내 대학 5곳과 2045년 탄소중립 달성 위한 기술 개발 나서
상태바
현대차그룹, 국내 대학 5곳과 2045년 탄소중립 달성 위한 기술 개발 나서
  • 이철호 기자 bsky052@csnews.co.kr
  • 승인 2023.07.27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국내 5개 대학과 함께 대기중 탄소 포집 및 에너지 전환 기술 개발에 나선다. 2045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선제적으로 친환경 기술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26일 경기도 화성시 롤링힐스 호텔에서 경상대·공주대·한국교통대·한국에너지공대·한양대 및 현대차그룹 관계자들이 모인 가운데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을 설립하는 기념 행사를 가졌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공동연구실 설립 행사에서는 홍승현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상무가 연구실 현판을 참여 교수들에게 전달했다.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은 2026년까지 현대차그룹과 참여 대학들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만든 기관으로, 공기 중 탄소를 포집하고 이를 소재나 에너지로 전환하는 기술을 연구한다.

제조 공정 등에서의 탄소 감축도 필요하지만, 2045년에 탄소 중립을 이루기 위해서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2)를 직접 포집하고 이를 유용한 에너지로 전환하는 등 적극적인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는 판단에 이번 공동연구실을 설립했다는 것이 현대차그룹 측의 설명이다.

▲현대차그룹은 26일 경기도 화성시 롤링힐스 호텔에서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을 설립하는 기념 행사를 가졌다. (왼쪽부터) 홍승현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상무, 남상용 경상대 교수, 고영수 공주대 교수, 홍연기 한국교통대 교수, 김주영 경상대 교수, 오명환 한국에너지공대 교수, 박태주 한양대 교수, 오정훈 현대엔지비 대표이사 상무.
▲현대차그룹은 26일 경기도 화성시 롤링힐스 호텔에서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을 설립하는 기념 행사를 가졌다. (왼쪽부터) 홍승현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상무, 남상용 경상대 교수, 고영수 공주대 교수, 홍연기 한국교통대 교수, 김주영 경상대 교수, 오명환 한국에너지공대 교수, 박태주 한양대 교수, 오정훈 현대엔지비 대표이사 상무.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은 'DAC(공기중에서의 탄소포집) 분과'와 'CO2활용 분과' 등 두 개 분과로 구성됐다.

DAC 분과는 대기 중에 0.04% 농도로 존재하는 CO2를 효율적으로 포집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할 예정이며 CO2활용 분과는 포집된 CO2를 메탄올, 메탄, 카본 물질 등으로 변환해 합성연료 및 배터리용 소재로 만드는 연구를 수행한다.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은 기초 기술을 확보한 이후 차량 장착이 가능한 이동형 탄소 포집 장치를 비롯해 사업장과 빌딩 등에 활용이 가능한 대용량 고정형 모듈 시스템 등을 개발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탄소중립 공동연구실을 위해 약 45억 원의 연구 예산을 지원하고 기술 내재화 및 검증에 협력한다. 또한 연구실의 연구 결과가 각 그룹사의 사업에 활발히 활용될 수 있도록 초기부터 공동연구실 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정보를 공유할 계획이다.

홍승현 현대차·기아 기초소재연구센터장 상무는 "2045년에 현대차그룹이 진정한 의미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기 중의 탄소까지 적극적으로 포집하고 이를 유용한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산학 연구의 시너지를 통해 탄소중립의 핵심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