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대표는 21일(현지시간)부터 나흘 동안 LG화학 생명과학본부의 보스턴 법인과 아베오, 토론토의 LG전자 AI Lab 등을 방문해 미래준비 현황과 미래 사업 분야의 시장 트렌드를 살폈다.
구 대표의 이번 해외 사업 현장 점검은 수년 간 이어온 미래 준비 행보를 글로벌로 확장해 간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LG는 미래성장동력으로 ABC(AI, Bio, Cleantech) 분야를 낙점하고 역량 강화와 경쟁력 확보에 힘쓰고 있다.
구 대표는 지난해와 올해 마곡 LG AI연구원, 오송 LG화학 생명과학 공장, 마곡 LG화학 R&D 연구소, 청주 LG화학 양극재 공장 등을 잇달아 방문하며 미래준비 행보를 이어갔다.
LG화학 생명과학본부는 글로벌 바이오산업의 메카로 불리는 미국 보스턴에 2019년 법인을 설립했다. 바이오 분야 혁신 기술 도입 및 글로벌 신약 개발을 위한 행보다.
지난 1월 LG화학이 인수한 미국의 항암신약 기업 ‘아베오 파마슈티컬스’도 기존 사무실을 생명과학 보스턴 법인과 통합하고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날 구 대표는 항암 신약과 세포치료제 등의 혁신 신약 개발 전략을 점검하고, 아베오 인수 이후의 사업경쟁력 강화 현황도 세심하게 살폈다.
구 대표는 “그룹의 성장사를 돌이켜보면 LG는 늘 10년, 20년을 미리 준비해 새로운 산업을 주도해 왔다”며 “지금 LG의 주력사업 중 하나인 배터리 사업도 30년이 넘는 기술 개발과 투자가 뒷받침되고 수많은 시행착오 속에서도 끊임없는 실행을 이어간 도전의 역사”라고 말했다.
이어 “LG의 바이오 사업이 지금은 비록 작은 씨앗이지만 꺾임 없이 노력하고 도전해 나간다면 LG를 대표하는 미래 거목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토론토 LG전자 AI Lab을 방문한 구 대표는 LG AI연구원 배경훈 원장과 이홍락 CSAI(Chief Scientist of AI), LG전자 김병훈 CTO 등과 사업 현장의 AI추진 현황을 직접 점검했다. 미래 연구개발(R&D) 방향 및 계열사 간 협력 강화 방안 등도 논의했다.
이날 미팅에서 LG는 AI 기술을 활용해 고객 관점에서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실행력을 더욱 높이고 필요한 핵심 역량 강화에도 힘쓰기로 의견을 모았다. 또한 LG의 제품이나 서비스, 조직 운영에 AI를 활용하는 성공 사례를 많이 만들어 나가기로 했다.
구광모 대표는 “AI는 향후 모든 산업에 혁신을 촉발하고, 이를 어떻게 준비 하는가에 따라 사업 구도에 커다란 파급력을 미칠 미래 게임체인저”라고 강조했다.
이어 “AI 관련 기술의 진화 속도가 매우 빠르고 경쟁도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며 “지금까지 확보한 기술들이 계열사의 비즈니스 현장에서 실질적 사업 성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빠르게 적용해 가며 이를 통한 레슨런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높여가자”고 당부했다.

구 대표는 이번 출장 중에 보스턴과 토론토에 소재한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 및 스타트업을 찾아 미래 시장 분야 트렌드를 살피고, 협업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하버드 의대 연계의 세계 최고 항암 연구시설인 다나파버 암 센터와 바이오/제약 분야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시설인 랩센트럴, 보스턴을 대표하는 바이오/제약 스타트업 인큐베이터인 랩센트럴, 캐나다 토론토에 위치한 벡터 연구소, 양자컴퓨팅 선도기업 자나두 등이다.
LG 관계자는 “이번 현장경영에서 LG의 계열사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수준의 항암 연구소, AI 분야 연구소 등을 찾아 산업 생태계를 살핀 것은 AI, 바이오 등의 미래 사업들을 글로벌 톱 수준으로 육성해 미래 산업을 선도하겠다는 구 대표의 의지가 담긴 행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