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기아는 3년 연속 무분규로 올해 잠정합의안을 이끌어냈다. 잠정합의안 조합원 찬반투표는 오는 10월 20일 진행될 예정이다.
기아 측은 중동, 우크라이나 등 국제 정세 불안과 지속되는 고금리 기조, IRA 등 국가 간 무역장벽 심화, 코로나 시점 대비 대기물량 대폭 감소 등 불확실한 미래 상황에 대해 노사 간 공감대를 형성하고 합의점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기아 노사는 장기근속자녀 우선채용 조항을 개정하기로 합의했다. 해당 조항은 사실상 사문화됐으나 단체협약에 문구가 남아 있어 사회적으로 '고용세습이라는 비판이 있었다. 또한 청년실엄난 해소를 위해 신규인원 300명을 채용하기로 했다.
미래경쟁력 확보 방안도 마련됐다. 현재 진행 중인 신공장의 성공적인 건설 및 양산을 위해 노사 간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또한 신사업 및 미래차 핵심부품에 대한 국내 투자 확대, 미래 사업 전환에 따른 국내 물량 확보와 고용안정을 위해서도 공동 노력하겠다는 내용을 합의서에 담았다.
임금과 성과격려금은 기본급 11만1000원 인상(호봉승급분 포함), 경영성과금 300%+800만 원, 생산판매목표 달성 격려금 100%, 특별 격려금 250만 원,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재래시장 상품권 25만 원에 무분규 타결 무상주 34주 지급도 포함됐다.
기아 관계자는 "자동차산업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미래차를 둘러싼 글로벌 업체 간 경쟁이 격화되는 상황에서 노사가 미래 발전과 고용안정이라는 큰 틀에 공감해 합의에 이를 수 있었다"며 "이번 합의를 토대로 경영 목표 달성과 미래 경쟁력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철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