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3일부터 2개월 동안 실시한 전국 민간 무량판 아파트에 대한 전수조사를 발표했다.
시공 중인 단지는 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라 현장별로 지정된 점검업체, 준공 단지는 최근 3년간 건축분야 안전점검 실적이 있고 영업정지 등 위반사실이 없는 업체 중 시공 과정에서 해당 아파트 안전점검에 참여하지 않은 업체 등 158개 업체가 조사했다.
우선 설계도서의 적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단보강설계 적정성을 비롯해 전단보강근에 대한 구조계산서와 구조도면의 일치 여부 등을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시공 중 현장 1개소에서 설계도서에 전단보강근 누락이 발견됐으나 착공 전 즉시 설계 보완 조치를 했고 준공된 아파트에서는 전단보강근 누락 등이 발견되지 않았다.
현장점검에서는 비파괴 방식으로 전단보강근 배근상태와 콘크리트 압축 강도 등을 측정했다. 콘크리트 강도는 지하 1층, 기둥 종류별 1개소 이상, 주거동 2개소 이상 측정해 확인했고 전단보강근은 지하주차장 기둥 종류별 1개소 이상(총 10개소 이상), 주거동 1개소 이상 측정해 구조도면대로 시공됐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시공 및 준공 현장 모두 철근 누락이 발견되지 않았고 콘크리트 강도도 적정해 보수·보강이 필요한 부실시공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공된 2개 단지에서는 세대 내 조사가 필요했으나 입주민 반대로 실시되지 않은 부분이 있었다. 다만 최상층 일부 세대 천장에만 전단보강근이 필요한 구조로 전체적인 구조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됐다.
조사 과정에서 국토부는 조사기관과 함께 지자체 및 국토안전관리원이 입회했고 조사 완료 후 국토안전관리원의 결과 검증 절차를 진행했다.
이외에도 주상복합, 오피스텔 등 시공 중인 비아파트 무량판 건축물은 지자체 주관으로 조사되고 있다. 지금까지 총 57개 시공현장 중 47개 현장의 조사가 완료됐다.
이 중 1개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 전단보강근 설치 미흡사항이 발견됐고 즉시 보안 조치해 안전 문제에 이상이 없도록 했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앞으로 국민이 공동주택에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건설현장 안전강화를 위한 방안을 근본적으로 마련하고 있으며 이른 시일 내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천상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