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SK에코플랜트, 환경업 진출 3년만에 업계 선도기업 '우뚝'
상태바
SK에코플랜트, 환경업 진출 3년만에 업계 선도기업 '우뚝'
  • 천상우 기자 tkddnsla4@csnews.co.kr
  • 승인 2023.11.22 1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K에코플랜트가 환경업 진출 3년만에 업계를 선도하는 리딩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고 22일 밝혔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 20일 환경업 진출 3주년을 맞아 관련 데이터를 공개했다.

국내 환경 자회사 숫자는 24개로 늘었고, 사업구조도 소각·매립·수처리 등 다운스트림부터 폐플라스틱, 전자전기폐기물, 폐배터리 등 고부가가치 업스트림 사업까지 환경업 밸류체인을 망라했다.

국내 최다(1295개) 수처리장을 운영 중인(위탁운영 포함) SK에코플랜트가 1년간 정화한 하·폐수의 양은 약 11억700만 톤으로 나타났다.

연간 약 35만1495톤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일반소각 부문에서도 국내 1위 점유율을 공고히 하고 있다. 의료 소각 용량까지 포함하면 연간 전체 소각 처리량은 40만 톤을 넘어선다. 지난해 환경부가 발표한 국민 1인당 연간 폐기물 배출량이 약 347kg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SK에코플랜트 소각시설에서 국민 약 117만 명이 1년 간 내놓는 폐기물을 처리한 셈이다.
 

환경업에 AI, 디지털솔루션 등 신기술을 도입해 고도화하는 노력도 기울였다. 국내 최초로 적용한 소각시설 AI솔루션은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49.9%, 질소산화물은 12.9% 저감하는 효과를 냈다.

이외에도 소각장 폐열은 다시 전력생산에 사용하거나 스팀으로 만들어 인근 공단이나 산업시설에 공급하고 있다. 소각시설 매출 중 에너지 판매 비중은 20%대에서 30% 이상으로 올랐다.

안전보건체계 및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구축 등에도 힘을 쏟았다. 환경 자회사들의 연 평균 법령 위반 건수는 SK에코플랜트 인수 전과 비교해 50% 이상 줄었다. 장기적으로 법령 위반 ‘제로’를 실현한다는 목표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대표는 ”SK에코플랜트의 혁신 기술과 솔루션이 확산되며 기존 환경산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수요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며 “기술 고도화와 산업 선진화 노력을 바탕으로 SK에코플랜트가 하는 환경사업의 차별적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천상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