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한은, 기준금리 연 2.50%로 동결... 집값·가계 부채 고려
상태바
한은, 기준금리 연 2.50%로 동결... 집값·가계 부채 고려
  • 박인철 기자 club1007@csnews.co.kr
  • 승인 2025.07.10 12: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10일 하반기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금통위는 지난해 10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낮춘 뒤 지속 완화하는 방향으로 방향키를 잡았고 올해 상반기에만 4차례 동결과 인하를 이어갔다. 경기부양에 초점을 맞춘 통화정책 기조다.

최근 들어 부동산·가계대출 등 금융시장이 불안해지면서 금통위는 이달 기준금리를 동결로 잡았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집값이 오르는 속도가 지난해 8월보다 빠른 속도라 경계감을 높인 것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수도권 지역에서 집값 상승이 번지면 젊은 층의 절망감부터 시작해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면서 “가계부채 규모는 이전 계약에 시차를 두고 예상할 수 있는 만큼 선제 대응이 가능하다. 가격이 잡혀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관세가 올랐고 부동산 가격 역시 상승세라 이를 못 잡으면 금융안정과 성장 간의 상충 관계가 굉장히 나빠질 수 있다는 것이 총재의 의견이다.

이 총재는 “어디에 더 비중을 둬서 금리를 결정할지 금통위원 간에도 의견이 나뉠 것”이라면서 “지금 상황에서는 언제 금리를 더 낮출지, 어디까지 갈지 미리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향후 성장에 대해서는 추가경정예산(추경) 등에 따른 상방 리스크,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하방 리스크가 공존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미국과는 아직 3주간의 시간이 남은 만큼 추가 협상 결과에 따라 향후 성장경로가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관세 상황을 점검한 후 대응할 여지를 잡아야 한다.

이 총재는 “지난해는 실기론 비판도 받았지만 금리 인하를 한 번 쉬니 가계 대출이 잡혔다고 생각했다. 이번에는 해피엔딩이 빨리 올지 잘 모르겠다”면서 “대출 규제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면 여러 추가 정책을 해야 할 텐데 정부가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