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이 원장은 상호금융중앙회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그동안 상호금융 업권이 대형 금융회사 닿지 못하는 지역 구석구석까지 서민금융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면서 “지역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본연의 협동조합 역할에 충실히 임해 사회적·협동적 금융을 강화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상호금융이 지역 내에서 조합과 상부상조하는 공동체 구성원으로 보호와 지원을 더욱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영세한 조합들이 많은 업권 특성상 조합 자체 인력·인프라에 기대서는 충분한 내부통제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면서 “중앙회가 구심점이 돼 부당대출, 대출사기 예방 등을 위한 전산화·매뉴얼화된 선진적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고 감독당국이 추진 중인 '여신업무 내부통제 개선방안' 마련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요청했다.

부실PF 정리 등 건전성 개선도 당부했다. 건전성 관리가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이 조합을 믿고 거래를 지속하기 위한 가장 본질적인 요건인 만큼 연내 부실PF 등의 신속한 정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중앙회의 취약 조합 밀착 관리 및 실효성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풀이다.
자리에 참석한 상호금융 중앙회장들은 “지역 내 1차 산업 종사자, 고령층 등 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업권인 만큼 금융소비자 보호에 더욱 관심을 갖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