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산하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삼성본관의 석면 해체ㆍ제거 공사 현장 주변을 조사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연구원은 "삼성본관 건물 1층 엘리베이터 앞, 석면폐기물 교환장소, 3층 급기구와 배기구 등 12곳에서 채취한 공기 시료를 투과전자현미경(검출 한계 0.001개/㎤)으로 분석했으나 석면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건물 내외부의 폐기물 이송경로와 해체 작업장의 바닥에서 채취한 8개의 먼지 시료에서는 모두 석면이 검출됐고, 이 가운데 6개 시료에는 청석면이 검출됐다. 본관 건물과 떨어진 주변 거리의 먼지 시료 9개 가운데 4개에서 백석면이 나왔고 1개에서는 청석면이 검출됐다.
연구원은 "가라앉은 먼지 중 석면농도에 대한 기준이 없고 유해성도 보고된 적이 없으며 공기 중 및 침착분진 속 석면농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건강 유해성을 평가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연구원은 "청석면은 주로 도심 건물의 뿜칠재로 사용됐고 백석면은 슬레이트, 브레이크라이닝 등에 쓰이기 때문에 주변에 비슷한 규모의 건물이 밀집해 있는 삼성본관 주변의 침착먼지에서 석면이 검출됐다고 해도 정확한 발생원을 파악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삼성은 "공기에서 석면이 검출되지 않은 것은 첨단장비를 이용해 작업기준을 준수했기 대문이며 주변의 건물 바깥 먼지에서 석면이 검출된 이유는 우리도 설명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시민환경연구소는 두 차례에 걸친 자체 검사에서 삼성본관 주변 먼지에 석면이 검출됐다고 주장하며 본관 리모델링 작업 중에 주변으로 유출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