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가 저탄소 녹색 성장의 물결을 타고 ‘그린 IT(정보기술) ’에 총력을 쏟고 있다..
‘그린 IT’는 IT산업 자체의 그린화와 함께 IT를 통해 환경 문제 해결을 목표하고 있다. 에너지 소비 효율화,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그린산업을 통한 고용창출 등을 실천 목표로 삼고 있다.
이를위해 KT는 통신인프라를 효율화하고 비즈니스 환경을 그린화하여 그린 IT 융합영역에서 R&D 개발과 핵심과제를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2013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05년 대비 20%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자산 인프라, 통신 인프라, 근무환경등 분야별로 다각적인 그린화 전략을 추진할 계획이다.
자산 인프라 분야에서는 기존 전력/연료 등을 친환경 에너지로 대체하고 지열을 이용한 냉난방 설비 구축, 태양광 와이브로 기지국 설치, 유휴부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폐기물 처리 강화 등을 추진한다.
현재 신내지사와 화성송신소에서 태양광 발전을, 대덕1연구센터에서는 지열냉난방을 시범 운영하고 있다.
통신 인프라 분야는 PSTN의 IP화, xDSL의 FTTH 전환, 국사 광역화, 그린IDC의 확대 등 통합과 구조개선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감축시키고, 재택근무와 인터넷 화상회의 확대 등을 통해 업무활동에서의 탄소배출도 최소화할 예정이다.
특히 화상회의는 회의 참석을 위한 교통량 증가로인한 탄소 배출, 출장비용, 사무실 이탈에 따른 비효율 등을 제거할 수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KT가 국내외 회의의 20%를 인터넷 화상회의로 대체할 경우 탄소 배출 감소 25만 톤(53억원), 출장비용 절감(44억원), 업무생산성 향상(40억원) 등 총 137억원 상당의 비용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분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