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암예방검진센터 명승권·김열 연구팀은 28일 항산화 보충제의 암 예방 효과를 임상시험을 통해 연구한 국제학술지 발표논문(1985~2007년)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연구팀은 31개(22개 대조군 임상시험) 논문에 발표된 총 16만여명의 임상연구 대상자를 8만8천여명의 '항산화 보충제' 사용군과 대조군(위약군 또는 비사용군) 7만2천여명으로 나눠 분석했다.
비타민A, 비타민E, 베타카로틴, 셀레늄 등의 항산화 보충제를 복용한 사람들은 아무것도 먹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암 발생의 상대위험도가 0.99(95% 신뢰구간)로 거의 차이가 없었다.
오히려 방광암의 경우 항산화 보충제가 암 발생률을 1.52배 정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승권 전문의는 “이번 연구결과가 이전 환자대조군 연구나 역학연구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앞으로 좀 더 연구해야 할 과제"라며 "현재 추정되는 가설 중 하나는 인공 합성품인 항산화 보충제와 과일, 채소에 들어있는 천연 항산화물질이 인체에서 나타내는 효과가 다르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항산화제는 세포의 산화를 느리게 하거나 막아주는 물질로, 암 예방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종양학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인 `종양학 연보(Annals of Oncology)' 온라인판에 최근 게재됐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