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지병원은 소아 청소년의 비만 정도가 심할수록 간 효소치가 높아지고, 이는 성인기에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등 만성질환으로 이어진다고 29일 밝혔다.
이 병원은 2006년 5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건강검진센터에서 학생건강검진을 받은 소아 청소년 8천880명을 체질량지수(BMI)에 따라 2개군(과체중군, 비만군), 표준체중과 비교한 비만 정도에 따라 3개군(경도비만군, 중증도비만군, 고도비만군)으로 나눠 분석했다.
체질량지수(BMI)로 봤을 때 전체의 25%가 과체중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남학생(4천544명)의 28.8%, 여학생(4천336명)의 21%가 각각 과체중이었다.
비만유병률은 전체평균 7.2%였는데, 남학생(7.8%)의 유병률이 여학생(6.5%)보다 높았다. 표준체중의 20% 이상인 경도비만이 6.3%, 중증비만(30~50% 비만) 5.0%, 고도비만(50% 이상) 1.0%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고1(16살) 학생에서 과체중 25.1%, 비만 6.4%였지만, 13세 때는 각각 24.4%, 8.7%, 10세 때는 각각 34.0%, 12.0%로 나이가 어릴수록 과체중이나 비만 유병률이 높았다.
혈액검사에서는 비만이 심할수록 비알콜성 지방간염지표(ALT)가 올라가고, 고콜레스테롤, 고혈압의 유병률도 높아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을지병원 관계자는 "소아 청소년기 혈압상승, 총콜레스테롤 상승 등은 성인 때 심혈관 질환에 노출될 위험성이 큰 만큼 비만의 조기발견 및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