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질환을 가장 앓는 사람은 50대 여성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최근 3년간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정신 및 행동장애의 한 유형인 ‘스트레스(F43) 질환’의 건강보험 실진료 환자수는 2005년 6만6천명에서 2008년 10만1천명으로 연평균 15.3%씩 증가했다.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남성이 3만8천명이었고, 여성은 6만3천명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1.7배 가량 많았고, 연령별로는 40대와 50대가 각각 2만1천명과 1만6천명으로 전체 실진료환자의 39.0%를 차지하였다.
연령대별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으로 50대 여성이 355명으로 최고였고, 그 뒤를 이어 40대 여성 339명, 60대전반 여성 306명, 60대후반 여성 292명, 30대 여성 284명 순(順)으로 나타나 여성의 갱년기 이후 연령대에서 많았다.
특히, 스트레스 실진료환자수가 해마다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10대로서 최근 3년동안(2005년~2008년) 1.8배 이상 증가하여 연평균 22.7%씩 증가하였다.
근로여부에 따른 2008년 스트레스 질환 10만명당 실진료환자수는 직장 여성 근로자가 262명, 여성 비근로자 226명, 남성 근로자 157명, 남성 비근로자 110명 순(順)으로 직장 근로자가 비근로자에 비하여 스트레스 실 진료환자수가 많았다.
근로여부에 따른 10만명당 성별 실진료환자수는 여성의 경우 연령대별로 크지 않았으나 남성의 경우는 10대와 20대를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직장 근로자가 비근자로에 비하여 많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30대와 40대 남성은 직장근로자가 비근로자에 비하여 각각 2.0배, 2.3배 많았다.
시·도별 10만명당 스트레스 실진료환자수는 2008년 기준 대전 288명(남성 225명, 여성 351명), 서울 235명(남성 173명, 여성 297명), 부산 228명(남성 162명, 여성 294명), 충남 224명(남성 164, 여성 286명) 순(順)이었다.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는 2005년 83억원에서 2008년 159억원으로 나타나 1.9배 증가하였으며, 건강보험공단에서 지급한 2008년 스트레스질환 급여비는 107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