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저축률의 국제비교와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06∼2008년 개인저축률은 평균 4.8%로 20년 전인 1986∼1990년의 16.9%에 비해 12.1%포인트 하락했다. 개인저축률은 가계의 저축액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눠 계산한다.
개인저축률은 ▲1991∼1995년 16.3% ▲1996∼2000년 14.2% ▲2001∼2005년 6.0% 등으로 계속 떨어졌다.
한은은 개인저축률과 달리 총저축률은 높기 때문에 투자재원 등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설명했다. 총저축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눠 계산하는 총저축률은 2006∼2008년에 평균 30.8%로 1986∼1990년 37.7%보다 7.0%포인트, 2001∼2005년의 31.9%에 비해서는 1.1%포인트 각각 하락하는데 그쳤다. 이는 기업의 저축률이 2006∼2008년에 16.0%로 2001∼2005년의 15.3%보다 2.1%포인트 상승하는 등 계속 올라온 데 따른 것이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선진국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한국의 총저축률은 30.7%로 1인당 국민소득 2만 달러였을 당시 미국 16.8%, 영국 16.1∼16.2%, 프랑스 20.3∼20.9%, 독일 23.3%보다 높다는 것이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