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경유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가운데 택배요금은 오히려 반토막 난 것으로 조사됐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과 한국소비자원,소비자연맹등에 택배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물만이 쇄도하고 있는 것도 이같은 조사 결과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소비자와 접점에 있는 택배 종사자들이 하루 종일 차를 굴리고 다녀도 기름값 상승과 요금 하락 때문에 별 재미를 보지 못해 욕설을 퍼붓거나 무성의하게 배달해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따라서 택배산업의 패러다임을 가격보다는 서비스 경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재계의 지적이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택배산업 발전을 위한 제도개선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경유값은 540원(1999년 평균)에서 1천408원(이달 현재)으로 160.7% 폭등했으나 택배단가는 4천70원에서 2천350원으로 42.3% 떨여졌다.
단가는 대한통운.한진택배.현대택배.경동택배등 택배회사의 전체 매출을 전체 물량으로 나눈 값이다.
이 보고서는 "택배단가 하락은 영업소 수수료 인하로 이어져 택배사원의 근로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이는 서비스 불량으로 나타나 고객의 불만을 크게 증가시키는 악순환으로 연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택배업 종사자의 이직률이 무려20~30%에 달한다고 이 보고서는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어 "인터넷 쇼핑몰 등 전자상거래가 큰 폭으로 성장해 택배물량은 급증했지만 화물차 증차 제한 때문에 차량 수급난까지 발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택배용 차량은 약 6천500대가 부족하며 연간 20%에 이르는 택배물량 증가율을 감안하면 매년 3천대 이상의 차량을 늘려야 한다는 게 대한상의의 분석이다.
대한상의는 "택배업체가 난립하고 있어 차별화된 서비스 경쟁보다는 점유율 확대를 위한 저가공세로 생존경쟁에만 치중하고 있다.서비스 경쟁으로 사업 패러다임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그 방안으로는 ▲지정시간 집배송, ▲영업소 및 택배사원 직영화 비율확대, ▲표준 요율제 시행, ▲화주와 서비스약정제 실시, ▲택배사원 자격제 운영, ▲택배교육 의무화 등을 제시했다.
정부도 택배산업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택배산업을 규정하는 법규나 통계가 없어 산업의 실상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택배업의 업종을 지정하고 정부 통계작성을 의무화하며 운임표를 정례적으로 갱신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보고서는 "화물차를 늘리는 것을 제한하거나 화물차의 주정차 가능지역을 단속하는 현행 규제도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