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열풍에 힘입어 막걸리가 술문화를 주도하고 있다. 생산.출하.내수 등 모든 면에서 다른 술을 압도했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10월 막걸리 생산량은 16만2천598㎘로 전년 동기(11만7천959㎘)보다 37.8% 늘어났다.
막걸리 다음으로 높은 생산 증가율을 기록한 술은 주정(4.0%), 맥주(0.2%)였고, 나머지 소주(-4.3%), 약주(-22.3%), 위스키(-26.2%), 복분자주(-28.4%)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출하량도 전년 동기보다 37.5% 늘어나 맥주(0.2%)에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증가율이 월등히 높았다. 주정(-1.6%), 소주(-4.7%), 약주(-20.2%), 복분자주(-20.2%), 위스키(-23.6%) 등 다른 술은 모두 출하량이 줄었다.
내수도 다른 술의 추종을 불허했다.
1~10월 막걸리 내수량은 11만4천422㎘에서 15만8천309㎘로 38.4% 증가했다. 반면 위스키(-35.1%), 복분자주(-21.3%), 약주(-19.9%)는 큰 하락폭을 면치 못했고 소주(-4.3%), 맥주(-1.9%), 주정(-1.6%)도 소폭 감소했다.
막걸리는 판매 호조로 생산량을 늘리면서 재고량도 전년 동기보다 43.2% 증가했다.
수출의 경우 막걸리가 전년 동기보다 10.0% 증가했으나 증가율은 맥주(40.6%), 위스키(22.2%), 복분자주(10.8%)에 밀렸다. 하지만 수출량은 3천605㎘에서 3천964㎘로 늘어나 1~10월 수출량 규모에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