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임민희 기자] KB금융지주 이사회가 차기 회장 선임 관련 임시주총을 연기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가운데 강정원 회장 내정자가 사퇴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져 파장이 일고 있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강정원 회장 내정자는 31일 오전 9시 서울 여의도 국민은행 본점에서 긴급 임원회의를 열고 조직과 고객보호를 위해 결단을 내리겠다며 회장직 사퇴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강 내정자는 이사회 측에 회장직 사퇴 의사를 전달한 상태이며 은행장 직은 당분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강 내정자가 사퇴하고 임시주총이 연기될 경우 KB금융 사태는 걷잡을 수 없는 소용돌이 속으로 빠질 우려가 있다.
KB금융지주 이사회는 31일 오후 3시 사외이사 9명과 사내이사 2명 등 이사 11명이 모두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열고 내달 7일로 예정된 차기 회장 선임을 위한 임시 주총 연기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임시 주총을 연기하거나 취소하는 것이 가능한지에 대한 법적 검토까지 하는 것으로 알려져 회장 선임을 위한 주총이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이날 강 내정자와 함께 최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비리의혹을 받고 있는 일부 사외이사들도 사퇴의사를 밝힐 것으로 보고 있다.
강 내정자 사퇴설과 관련, KB금융지주 관계자는 "확인된 바 없다"며 "이사회에서 임시주총 연기방안과 더불어 향후 대응도 함께 논의될 것"이라고 일축했다.
사퇴배경과 관련 금융당국과 KB금융 간의 껄끄러운 관계 때문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이 관계자는 "일부에서 하는 얘기일 뿐"이라며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했다.
최근 금융감독원이 종합검사에 앞서 이례적으로 고강도 사전검사를 실시하면서 차기 회장으로 내정된 강정원 은행장을 겨냥한 표적검사 의혹이 제기됐다. 정부가 밀던 인사가 사외이사들에 의해 밀려나고 강 행장이 인선된 데 따른 보복성 조치라는 지적이다.
실제로 금융당국은 강 행장에 대한 비리 정황이 없는 데도 운전기사까지 조사한 점과 과거 IT투자관련 비리혐의로 조사를 받았던 사외이사들을 또 다시 재검사하는 등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KB금융지주는 강 내정자와 일부 사외이사들이 사퇴할 경우 조직위상과 국내외의 금융신뢰도 추락 등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 또한 표적검사, 관치금융이란 비판을 받고 있는 금융당국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처지다.
KB금융이 이 난국을 어떻게 돌파할 지에 대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