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세계 복싱 챔프 콘텍츠 렌즈 때문에 은퇴 갈림길
상태바
세계 복싱 챔프 콘텍츠 렌즈 때문에 은퇴 갈림길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08.07 14: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계복싱협회(WBA) 슈퍼미들급 챔피언 앤서니 먼다인(32.호주)이 콘택트렌즈를 입에 물고 빨았다가 눈이 세균에 감염돼 은퇴 위기에 몰렸다고 호주 AAP통신이 7일 지역 TV방송을 인용해 보도했다.

최근 왼쪽 눈 수술을 받은 먼다인은 지난 주말 한 식당에서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눈에서 꺼낸 뒤 입에 넣고 닦았다.

나름대로는 더러워진 렌즈를 침으로 깨끗이 닦은 뒤 다시 착용한 셈이었지만 먼다인은 그 후 왼쪽 눈 감염으로 인해 다시 병원에 입원해야 했다. 의사는 그에게 "수개월간 시력 저하가 불가피하고 최악의 경우 각막 제거수술을 받아야 한다"고 경고한 상태다.

올 3월 샘 솔리먼(34.호주)을 9회 TKO로 물리치고 WBA 챔피언 벨트를 거머쥔 뒤 1차 방어전에 성공해 통산전적 29승(22KO)3패의 전성기를 구가 중인 먼다인은 이래저래 은퇴 위기에 몰린 셈이다.

전문가들은 먼다인이 자초한 일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눈 수술 후 치료용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이유는 수술로 제거된 `각막 상피'의 재생을 돕기 위해서다. 눈 주변 세균으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각막 상피 대신 콘택트렌즈를 착용해 감염도 막고 하루 빨리 새 상피가 자라나도록 돕자는 것.

이 때문에 치료용 콘택트렌즈는 시력교정용과 달리 함부로 벗겨내선 안 되고 정기적으로 눈에 항생제 안약을 넣어줘야 한다.

하지만 먼다인은 콘택트렌즈를 각종 세균으로 가득 찬 입에 넣고 빨았다가 보호막도 없는 눈에 착용했으니 감염이 안 될 수가 없다는 설명이다.

`소중한 눈 안과' 김준헌 원장은 "먼다인은 감염으로 인한 각막 궤양이 상당히 진행됐을 것"이라며 "약으로 치료가 안되면 각막에 구멍이 날 수 있고 치료가 잘 돼도 각막에 흉터가 남아 시력이 뚝 떨어지기 쉽다"고 말했다.

먼다인은 1990년대 호주 최고의 럭비 선수로 이름을 날리다 `호주 원주민 출신은 인종차별 때문에 럭비 국가대표가 될 수 없다'고 비관, 2000년 돌연 프로복싱 전향을 선언했다. 이후 복싱과 럭비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다 세계챔피언이 되며 안정을 찾은 먼다인은 순간의 실수 때문에 좋아하는 운동을 모두 그만둬야 할지 모르는 지경에 처하게 됐다(연합뉴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