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대표 구본준)가 에너지 고효율 제품 및 친환경 기술 개발로 온실 가스 배출량을 대폭 감축하면서 목표치를 7년 앞서 초과 달성했다.
LG전자는 지난해 제품 사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연간 온실가스 발생량을 3천800만t 줄이는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LG전자는 2009년 초 적극적인 연구개발을 토대로 주요 제품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켜 2020년에는 제품 사용단계 온실가스 발생량을 연간 3천만t 감축하겠다고 발표했었다.
LG전자는 TV 주요 제품에 스마트 에너지 세이빙(Smart Energy Saving) 기술을 적용해 기존 제품 대비 소비전력을 최대 67%까지 줄였다. 또 세탁기에 6모션 및 듀얼 스팀 기술을 적용해 소비전력을 최대 50%, 초절전 슈퍼 인버터 기술을 적용한 에어컨에서는 최대 60% 절감했다.
소비전력1kWh가 감소하면 온실가스 배출량은 0.424kg씩 줄어든다. 47인치 TV 한 대 기준 연간 온실가스 감축량은 약 131kg 수준으로 일반 승용차 1대가 서울에서 부산까지 왕복할 때 발생하는 온실가스 규모와 비슷하다.
LG전자는 제품 사용 단계에서 발생하는 2020년 연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기존 대비 약 2배 상향 조정한 6천만t으로 다시 세웠다. 이 수치는 소나무 약 4억 3천만 그루를 심는 효과와 맞먹는다.
이를 위해 LG전자는 소비전력 저감 기술 및 제품 수명 개선에 대한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주요 제품에 친환경 소재 적용 비중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 소비자가 냉장고, 세탁기, TV, 모니터 등 각 제품 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탄소배출량 인증’ 및 ‘저탄소 제품인증’ 취득을 확대한다. 현재 생활가전부문(HA/AE사업본부) 최다 탄소 성적표지 인증 획득 (112건, ‘14년 4월 유효 모델 수 기준) 등의 성과를 거두며 저탄소 친환경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