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블프·코세페 등 할인 행사 몰린 11월, 택배 민원 54% 급증
상태바
블프·코세페 등 할인 행사 몰린 11월, 택배 민원 54% 급증
난방용품 수요 늘며 가전 '8.9%' 증가
  • 조윤주 기자 heyatti@csnews.co.kr
  • 승인 2025.11.23 08: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북 충주시에 사는 김 모(여)씨는 온라인몰과 의류업체에 각각 반품할 상품을 문 앞에 뒀는데 A택배사 기사가 확인 없이 가져가 곤란한 상황이다. A택배사는 온라인몰 상품을 회수하기로 돼 있었으나 의류업체 택배를 가져간 것. 김 씨는 A택배사에 여러 차례 전화를 시도했으나 도통 연결되지 않아 답답함을 토로했다. 반품 기한이 지나면 오롯이 김 씨가 피해를 감당해야 할 상황이다. 김 씨는 "벌써 며칠째 해결이 안 되고 있다"며 스트레스를 호소했다.

11월 들어 자동차·패션·화장품·유통 등 각 업계가 대대적인 할인 행사에 나서면서 후폭풍이 소비자 민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택배 지연부터 생활용품 관련 불만까지 연쇄적으로 쏟아졌다.

23일 소비자고발센터(www.goso.co.kr)에 따르면 11월 약 한 달간 소비자 민원 건수가 두드러지게 증가한 업종은 택배(53.8%)다. 이어 △생활용품(28.4%) △가전(8.9%) 순으로 조사됐다.

택배는 최근 블랙프라이데이, 코리아세일페스타 등 가전, 패션·화장품 및 유통업계에서 대대적인 할인 행사를 펼치며 온라인 거래가 늘어나자 연쇄 효과로 이용자가 늘면서 민원도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택배 이용 소비자들은 ▶서비스에 33.3%의 가장 많은 민원을 제기했다. ▶분실 ▶파손도 각각 22.2%로 높게 나타났다. 이어 ▶지연(11.1%) ▶오배송·오회수(5.6%) ▶기타 (5.6%) 순이다. 민원은 시장 규모가 반영돼 CJ대한통운과 롯데택배, 한진택배 등 3사에 집중됐으나 우체국소포, 로젠택배, 경동, 일양택배 등 업체를 대상으로 한 민원도 적지 않다.

소비자들은 택배가 파손되거나 분실, 지연, 오배송 등 다양한 피해 상황에서 택배기사가 불친절하게 응대하는 데 대해 가장 많은 불만을 제기했다. 아예 연락을 받지 않거나 전화나 대면에서 고성과 욕설을 쏟아 소비자를 불안에 떨게 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이같은 점을 들어 택배사에 도움을 청했지만 결국 다시 지역 대리점, 기사에게 해결하도록 떠넘겨 갈등이 해소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두드러졌다.

택배가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지만 보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점도 갈등 유발 요인이다. 택배사와 지점, 택배기사간 책임이나 일처리를 미루면서 소비자들이 스트레스에 시달렸다.

생활용품은 택배 민원이 급증한 것과 마찬가지로 패션, 화장품, 잡화 등 대대적 할인행사로 판매가 늘면서 제품 불량, 주문 취소, 반품 거절 등 내용이 눈에 듸었다.

가전은 음식물처리기, 로봇청소기 등 민원도 두드러지게 늘었으나 한파가 몰아치자 보일러, 난방용품 민원이 급증하며 전체 증가율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기매트의 경우 고장이 잦고 AS를 맡기려 해도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가구와 금융은 20%씩 민원이 증가했고 게임, 식음료는 각각 17.6% , 4.1% 민원 건수가 많아졌다. 항공과 여행 업종은 지난해 황금 연휴 기간 민원이 급증한 영향으로 이달에는 16.8%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격적인 겨울에 접어들며 다이어트 관련 민원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조윤주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