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재계 '싸움닭'은 누구?...30대 그룹 9조 원 대 소송 ‘몸살’
상태바
재계 '싸움닭'은 누구?...30대 그룹 9조 원 대 소송 ‘몸살’
  • 김미경 기자 news111@csnews.co.kr
  • 승인 2014.05.08 08: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업들이 메머드급 소송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30대 그룹 상장사들이 현재 손해배상 등으로 피소당한 소송 건수는 5400여 건, 소송가액은 96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들 그룹이 지난해 거둔 순이익의 20%에 육박하는 규모다.

 

1천억 원 이상의 대규모 송사에 시달리는 그룹도 절반인 15개에 달했다. 전체 피소금액의 30% 가량은 삼성그룹 몫이었다.

 

8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30대 그룹 189개 상장 계열사의 지난해 말 현재 계류 중인 소송 사건을 조사한 결과 주요 피소 건 수는 5393, 피소금액은 95803억 원이었다.

 

피소 한 건당 소송가액이 18억 원이었고, 이들 그룹 전체 계열사가 지난해 벌어들인 순이익 505천억 원의 19%나 되는 규모였다.

 

계류 중인 소송은 30대 그룹 상장사들이 각자 투자자 보호를 위해 공시한 주요 소송 중 지난해 말 기준 피소 금액이 명시된 내역이며 항소로 인한 변동이 있을 경우 조정된 소송가액을 집계했다.

 

또 집단소송 등 기업이 피소 건수를 명확히 밝히지 않은 경우 단일 건으로 처리해 실제 30대 그룹의 피소 건 수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30대 그룹 상장사 계류 중인 소송 현황

금액

순위

그룹명

주요 소송건수

소송금액

(십억 원)

1

삼성

2,323

2,695

2

포스코

41

1,388

3

코오롱

50

1,000

4

현대

60

993

5

대림

139

550

6

대우건설

179

491

7

현대자동차

200

420

8

두산

8

390

9

금호아시아나

91

219

10

LS

36

216

11

동부

1,274

202

12

한화

156

171

13

LG

117

158

14

KT

232

135

15

현대중공업

36

113

16

GS

79

94

17

SK

65

92

18

효성

31

58

19

한진

105

49

20

롯데

45

47

21

CJ

67

36

22

대우조선해양

18

34

23

신세계

8

12

24

현대백화점

12

8.8

25

OCI

6

7.3

26

동국제강

11

2.7

27

미래에셋

4

0.4

5,393

9,580

출처 : CEO스코어

*30대 그룹은 2013년 기준. 부영은 상장사 없음

*영풍, 에쓰오일은 주요 소송내역이 없음

*삼성전자와 애플 간 소송은 보고서상 금액이 공시돼 있지 않아 제외

 

30대 그룹 중 피소금액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이었다.

 

삼성그룹은 2323건의 주요 소송에 피소금액은 26947억 원이었다. 30대 그룹 전체에서 건수로는 43.5%, 금액으로는 28.1%의 비중이다.

 

삼성의 피소 금액 대부분은 2005년 삼성자동차 채권금융기관들이 이건희 회장을 비롯해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물산 등 28개 계열사에 제기한 위약금 지급 청구 소송이다. 채권단은 지난 2011년 삼성생명 상장 지연과 관련한 위약금과 연체 이자 등으로 22300억 원을 요구해 현재 대법원 상고심이 진행 중이다.

 

삼성전자가 애플로부터 피소된 특허소송은 금액이 공시돼 있지 않아 집계에서 제외했다. 삼성전자는 당초 애플로부터 25억 달러(한화 약 28천억 원)의 특허침해 소송을 당했으나 최근 배심원 평결이 확정된 2차 소송에서는 12천만 달러(1232억 원)로 금액이 줄었다.

 

2위는 포스코그룹으로 지난 2012년 신일본제철로부터 1조원 대의 기술유출 소송을 당하는 등 총 피소금액이 13880억 원(주요 소송건수 41)이었다.

3위는 코오롱그룹이다. 미국화학업체 듀폰사가 코오롱인더스트리에 영업비밀 침해에 대해 요구한 손해배상금 9500억 원이 대부분이고, 그 외 49건을 합쳐 총 피소금액이 1조 원이다.

 

하지만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최근 열린 항소심에서 승소하며 원심 파기 후 재심 판결을 받은 상태다. 향후 합의와 소송 과정이 동시에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비용 역시 1조 원보다는 대폭 낮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4~5위는 현대그룹 9930억 원(60), 대림그룹 5500억 원(139)이었다.

 

이어 대우건설(4900억 원, 179)현대자동차(4200억 원, 200)두산(3900억 원, 8)금호아시아나(2190억 원, 91)LS(2160억 원, 36)그룹 순으로 피소 금액이 컸다.

 

이 외에 동부(220억 원), 한화(1710억 원), LG(1580억 원), KT(1350억 원), 현대중공업(1130억 원) 등도 피소금액이 1천억 원을 넘었다.

 

30대 그룹 중 피소금액이 가장 적은 곳은 미래에셋으로 4건에 금액은 37천만 원에 그쳤다. 동국제강(27억 원), OCI(73억 원), 현대백화점(88억 원)그룹은 100억 원 미만이었다.

 

기업별로는 포스코가 1600억 원으로 피소금액이 가장 많았고 이어 코오롱인더스트리(9500억 원), 현대엘리베이터(8210억 원), 대우건설(4910억 원), 대림산업(4415억 원), 대우인터내셔널(330억 원), 현대건설(2410억 원), 삼성화재해상보험(2120억 원), 두산중공업(245억 원), 동부화재해상보험(1440억 원) 순이었다.

 

삼성전자는 삼성자동차 위약금과 애플 특허 손해배상 금액이 모두 명확히 공시되지 않아 기업별 순위에서는 제외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미경 기자]




30대 그룹 상장 계열사 피소금액 '30'

금액

순위

기업명

주요 소송건수

소송금액

(십억 원)

1

포스코

2

1,060

2

코오롱인더스트리

1

950

3

현대엘리베이터

4

821

4

대우건설

179

491

5

대림산업

84

442

6

대우인터내셔널

11

303

7

현대건설

155

241

8

삼성화재해상보험

2,022

212

9

두산중공업

1

205

10

동부화재해상보험

1,226

144

11

현대상선

46

139

12

금호산업

86

138

13

LG

1

137

14

JS전선

3

137

15

KT

220

128

16

삼성물산

77

125

17

두산건설

3

109

18

고려개발

23

98

19

한화손해보험

15

93

20

현대중공업

32

89

21

GS건설

65

84

22

현대모비스

9

74

23

SK증권

8

66

24

두산인프라코어

1

66

25

LS산전

7

63

26

삼성중공업

14

57

27

현대제철

19

52

28

코오롱글로벌

49

50

29

현대로템

13

47

30

금호타이어

1

46

출처:CEO스코어

*삼성전자는 애플 및 삼성자동차 관련 소송 금액이 공시되지 않아 제외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