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국내외 자동차 업체들이 잇따라 대규모 리콜에 나서면서 소비자 불만 잠재우기에 나선 모습을 보이고 있다.
리콜은 안전기준에 부합하거나 안전운행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결함이 발견됐을 때 자동차 제조사가 결함 사실을 알리고 합당한 시정조치를 하는 것을 말한다.
22일 교통안전공단 자동차결함신고센터에 따르면 올해 4월까지 국산차는 4개 차종 34만4천333대, 수입차는 38개차종 2만9천333대로 국내 리콜 차량은 총 42개 차종 37만3천666대에 달했다.
5월 리콜 차량까지 더한다면 무려 49만6천800여 대에 이른다. 리콜 차량은 2012년 187개 차종, 20만6천237대에 이어 지난 해 204개 차종 104만3천171대로 매 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올해 주요 리콜 차종으로는 르노삼성자동차(대표 프랑수아 프로보) 'SM5'가 시동꺼짐 문제가 발생해 16만1천700대를 리콜한데이어 기아자동차(대표 이형근)는 '모닝', '레이' 등에서 배출가스 부품 결함으로 총 19만7천여 대를 리콜한 바 있다.
최근에는 현대자동차(대표 김충호) '투싼'에서 에어백이 정상적으로 펴지지 않을 수 있는 결함이 발견돼 12만2천561대가 리콜조치를 받았다.
해외에서도 토요타가 4월 부품 결함으로 역대 2번 째 기록인 639만 대의 리콜을 발표한데이어 '늑장 리콜'로 물의를 빚은 GM은 올해 2월 이후 미국에서만 리콜 대수가 총 1천360만 대에 달하고 있다.
포드와 크라이슬러도 에어백 장치 결함 등을 이유로 약 138만대와 78만대의 차량을 각각 리콜하기로 했다.
이와 같은 업계의 리콜대수 증가는 전자장비화되는 자동차 기술과 달리 업계에서 이를 제대로 뒷받침해주지 못해서 나온 문제와 자동차 업계에서 리콜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기 때문이라는 다양한 해석이 나오고 있다.
'리콜'이 제조사에 부정적 이미지를 그리기도 하지만 결함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 브랜드 이미지를 높이는 전략도 숨어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소비자들의 눈이 매서워지면서 제조사 입장에서도 결함 사실을 밝히는데 적극적이게 됐다"면서 "품질력 제고 측면에서 제조사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고 답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김건우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