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중국으로 가는 하늘길에 저비용항공사의 신규취항이 대폭 확대돼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게된다.
국토교통부(장관 서승환)는 항공 이용객의 편익 증진과 항공사의 국제노선 취항확대를 통한 항공운송산업 활성화를 위해 신규노선 확대 및 기존 노선의 운항횟수 확대를 결정했다.
서울-허페이 등 17개 여객 신규노선 주51회와 서울-베이징 등 12개 여객 기존 노선 주39회, 한-중 간 화물노선 주8회의 국제항공운수권을 5월30일 항공교통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적항공사에 배분한 것.
17개 여객 신규노선의 경우 대한항공이 서울-허페이 등 3개 노선 주10회, 아시아나항공이 서울-옌청 1개 노선 주3회 배정 받았다.
저비용항공사에서도 제주항공이 서울-스좌장 등 3개 노선 주7회, 진에어가 제주-시안 등 2개 노선 주6회, 에어부산이 부산-옌지 등 2개 노선 주5회, 이스타항공이 청주-옌지 등 3개 노선 주7회, 티웨이항공이 서울-인촨 등 3개 노선 주13회의 운수권을 각각 배분 받았다.
한-중 항공협정에 따라 기존 운항 중인 항공사만 운항 가능한 12개 여객 기존노선의 경우 대한항공이 서울-베이징 등 7개 노선 주 17회, 아시아나항공이 서울-청두 등 8개 노선 주22회의 운수권을 각각 배분받았다.
그 외 한-중 간 화물 운수권의 경우 대한항공이 주4회, 아시아나항공이 주4회를 각각 배분받았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항공교통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공정하게 배분했으며 중국 노선에 저비용항공사의 신규취항이 대폭 확대되고 기존 운항중인 노선의 운항횟수도 증가해 이용객들의 더 편리한 중국방문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김미경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