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상반기 결산-휴대전화] 더 불편해진 애플 AS정책, 소비자 공분
상태바
[상반기 결산-휴대전화] 더 불편해진 애플 AS정책, 소비자 공분
  • 김건우 기자 kimgw@csnews.co.kr
  • 승인 2015.07.28 0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 상반기 휴대전화 관련 민원이 예년에 비해 크게 줄었다.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 (이하 단통법) 시행 이후 불법보조금 문제가 크게 줄었고 설탕액정, 불량 배터리 등 제품 관련 민원 역시 일제히 줄어든 영향이다.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소비자고발센터(www.goso.co.kr)에 휴대전화 관련 소비자 제보는 총 845건이었다.

주요 민원은 ▶ 이유없이 먹통이 되거나 전파 수신이 잡히지 않는 등 소프트웨어 문제가 214건(25.3%) ▶ 제조사의 AS 및 판매정책 관련 불만 198건(23.5%) ▶ 액정 깨짐 및 번인(잔상)현상 151건(17.9%)으로 제품 및 정책이슈가 골고루 분포돼 있었다.

조사기간 동안 삼성전자 갤럭시S6, LG전자 G4 등 국내 제조사의 신제품이 릴레이로 출시됐지만 관련 제보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다.

◆ S/W문제는 제조사 책임 밖?...휴대용 충전기 화재위험 여전

이유 없이 먹통이 되는 휴대전화를 두고 소비자와 제조사간 갈등을 빚는 경우가 잦았다. 하드웨어(H/W) 문제가 아닌 소프트웨어(S/W) 문제일 경우 프로그램 업데이트 시기까지 무작정 기다려야 한다는 대응으로 불만을 샀다.

삼성전자, LG전자 등 제조사에서는 '제품 노후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현상'이라며 메인보드나 주요 부품의 교체를 통해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전부 유상수리라 비용적 부담은 소비자 몫이고 수리 후에도 먹통현상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는 경우도 빈번하다.

또한 단통법으로 단말기 교환주기가 길어지자 휴대전화 충전기를 구입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 

가격 부담이 큰 '정품'보다 편의점이나 인터넷몰에서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비정품' 충전기나 범용 충전기를 주로 사용하면서 충전 중 스파크가 튀었다거나 불길이 치솟았다는 민원이 늘었다.

불량품 중 상당수는 안전 인증을 받을 때와 다른 부품을 임의로 바꿔 제품을 조립하는 등의 꼼수를 써서 화재 위험을 유발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 애플의 AS정책은 여전히 논란...팬택 AS 운영은 어떻게?

국내 정서와 맞지 않다는 지적을 받아왔던 애플의 AS정책은 여전히 주요 불만사항 중 하나였다.  AS정책 일부가 변경되면서 다수 소비자들의 공분을 사기도 했다.

애플은 지난 4월 액정 등 디스플레이 관련 AS업무를 애플 직속 '진단센터'에서 확인하고 AS를 제공하겠다고 약관을 변경했다. 기존에는 AS센터에서 자체적으로 리퍼비시폰으로 바꿀 수 있었던 것을 이제는 애플코리아가 관장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진단센터를 통해 유상수리로 판명될 경우 소비자가 수리비 부담으로 기기를 돌려받고 싶어도 돌려받을 수 없어 논란이 되고 있는 사항. 기존에는 AS센터에서 유상리퍼로 처리된 내용을 진단센터가 관할하면서 소비자가 부담해야 할 비용과 시간이 모두 늘어난 셈이다.

애플은 또한 최근 국내에도 출시한 스마트 워치 '애플 워치'의 리퍼비시 제품 가격을 신제품과 맞먹는 수준으로 책정해 원성을 사기도 했다. 특히 리퍼비시 제품은 본체만 교환하기 때문에 리퍼비시 가격에 대한 문제가 불거졌다.

한편 지난 17일 옵티스-쏠리드 컨소시엄(이하 옵티스)에 매각된 팬택의 AS 제공 여부에 대한 문의가 많았다. 특히 전국 100여 곳의 팬택 AS센터가 옵티스의 인수 목록에는 없었던 것으로 알려져 팬택 사용자들의 불안감은 높아졌던 것은 사실.

하지만 팬택과 옵티스 모두 현재 팬택 단말기 이용자들을 위해 단말기 AS방안을 빠른 시일 내 마련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AS 지속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