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생리대 전체성분 공개는 유한킴벌리·깨끗한나라 단 2곳...의무화 필요
상태바
생리대 전체성분 공개는 유한킴벌리·깨끗한나라 단 2곳...의무화 필요
  • 조지윤 기자 jujunn@csnews.co.kr
  • 승인 2017.08.23 08:31
  • 댓글 6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논란으로 제조사인 깨끗한나라가 지난 7월 전성분을 공개한 가운데 생리대 원료 및 성분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뜨겁다.

하지만 국내 시판 중인 생리대 가운데 전성분을 공개하고 있는 업체는 유한킴벌리와 깨끗한나라뿐이다. 다만 두 업체 모두 공식 사이트에 모든 원료 및 성분을 기재했을 뿐 실제품 후면에는 주요성분만 기재하고 있다.

엘지유니참, P&G, 웰크론헬스케어 등 업체는 공식판매처나 제품 후면에 주요성분을 표기하고는 있지만 전성분을 공개하지는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소비자들은 모든 업체가 원료 및 성분을 밝힐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으는 상황이다.

여성환경.png
▲ 자료출처: 여성환경연대
여성환경연대가 발표한 생리대 원료표시제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깨끗한나라의 릴리안 패드형 생리대인 ‘숨, 쉬다’, ‘가볍다’, ‘초흡수 무향/파우더향’ 제품은 커버에 폴리에칠렌/폴리에스터섬유를 사용하고 있다.

날개에는 폴리에칠렌/폴리프로필렌섬유, 폴리우레탄섬유(고무줄) 등을 사용하고 있고 흡수체에는 폴리에칠렌/폴리프로필렌섬유, 우드셀룰로오스섬유 등을 사용하고 있다.

폴리에칠렌은 에틸렌 가스가 중합해서 생긴 플라스틱으로 열에 강해 주방용품에 많이 사용되며 방습성이 높다. 비교적 안전한 소재로 어린이 장난감에도 많이 사용된다. 폴리에스터섬유는 나일론 다음으로 강도가 높아 물에 젖어도 강도에 변함이 없으며 내구성이 좋아 커버류, 침구, 커튼 등에 사용된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의 중합체로 플라스틱 종류의 하나다. 카펫, 실내 장식품, 산업용 밧줄의 인공 섬유뿐만 아니라 음식 및 화장품 용기, 장난감, 가구, 자동차 부품에도 사용되고 있다.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폴리우레탄섬유는 고탄성을 가진 합성섬유로 흔히 스판덱스라고 불린다. 거들, 브래지어, 스키 팬츠, 수영복 등에 쓰인다. 우드셀룰로오스는 목재 셀룰로오스를 말하는데, 셀룰로오스란 식물체 세포벽의 주성분이다.

접착용글루는 스틸렌부타디엔공중합체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합성고무로 만든 접착제를 말한다. 릴리안 팬티라이너 제품이나 깨끗한나라의 ‘순수한면’ 라인 역시 비슷한 성분으로 생산되고 있다.

유한킴벌리의 ‘화이트’, ‘좋은느낌’ 제품 가운데 패드 종류는 주로 커버에 폴리에칠렌 필름을 쓰고 있다. 폴리에칠렌 필름은 주로 방습층으로 사용되는 투명한 시트다.

유한킴벌리 패드형 생리대의 날개는 주로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필렌섬유를 사용하고 있다. 흡수체로는 우드셀룰로오스섬유, 폴리에칠렌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폴리에스터섬유 등이 쓰인다.

팬티라이너 역시 폴리에칠렌, 폴리에스터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우드셀룰로오스섬유 등이 주요성분이다.

엘지유니참은 ‘쏘피’, ‘바디피트’ 라인의 성분에 대해 부직포, 면상펄프 등 주요성분만 공개하고 있다. ‘귀애랑’의 경우 부직포, 면상펄프에 더해 강화쑥(애엽), 인진호, 당귀 등을 표기하고 있기도 하다.

P&G는 ‘위스퍼’ 라인 성분에 대해 폴리에칠렌필름, 면상펄프, 부직포, 흡수지 등 주요성분만 공개하고 있다. 웰크론헬스케어 역시 ‘예지미인’ 성분과 관련 부직포, 폴리에칠렌필름 등 주요성분만 표기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정책위의장은 22일 생리대, 마스크에 대해서도 모든 성분 표시를 의무화하도록 하는 전성분 표시제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최근 일회용 생리대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국민 안전과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다는 취지다.

여성환경연대는 “현행 식약처 기준에 따라 제조됐다고 해서 안전한 제품이라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보다 심각한 문제가 생기기 전에 식약처가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일회용 생리대 속 성분에 대한 전면적인 위해성 검토와 건강 영향을 조사하고 관리방안을 만들 것을 요구한다”고 입장을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조지윤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6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마녀사냥 2017-08-28 04:31:18
딱봐도 경쟁업체 죽이기 릴리안에 시장빼앗길까봐 꼼수
강원대에 유한킴벌리가 후원하고 여성단체에 유한킴벌리 상무가 있는데
아무상관이 없다???
이게 말이야 똥이야~~ 초딩들고 알겠구만

궁금증 2017-08-24 12:07:02
유한킴벌리의 이사가 여성환경연대운영위원에 강원대 조사 연구비 지원도 유한킴벌리라네요 생리대 문제있는것은 맞지만 웬지 유한킴벌리의 나쁜 버릇이 또 나온거 같네요

으헤헷 2017-08-24 11:24:02
유한 킴벌리 그럴줄 알았다 어쩐지 이번 사건에유한킴벌리 제품만 조용하더라

곰수니 2017-08-24 03:01:29
환경연대가유킴라인....헐....대박....알만한건가요.....

거부이 2017-08-23 19:34:19
여성 환경 연대 와 유한킴벌리 상무가 동일 인이다 완전 이거 스릴러임 무셔 무셔
요즘 화이트 니들꺼 덜나가니?? 릴리안 죽이기 나선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