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금호고속서 옷가방 '네다바이'… 회사 "법대로 해"
상태바
금호고속서 옷가방 '네다바이'… 회사 "법대로 해"
  • 백상진 기자 psjin@consumernews.co.kr
  • 승인 2007.11.20 07: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속버스를 탔던 승객이 중간에 하차하면서 화물칸에 실린 다른 손님의 가방을 ‘슬쩍’하는 황당한 일이 발생했다.


피해자는 기사 또는 버스회사가 전액을 배상하든지 가방을 찾아달라고 버스회사측에 항의하고, 버스회사측은 약관에 규정된 금액밖에 배상해줄 수 없다고 버티고 있다.


소비자 조 모(여·49·광주시 서구 금호동) 씨는 지난 14일 전남 여천에서 직통 금호고속버스를 타고 광주시로 왔다.


터미널에 도착해서 짐을 찾으려고 화물칸을 보니 옷 가방 2개가 사라지고 없었다. 40×70cm크기의 옷가방에는 겨울 옷 20벌 이상이 빼곡히 들어있었다.


조 씨는 너무 놀라고 황당해서 기사에게 얘기했다. 기사는 “어떤 여자가 중간에 내리면서 가방을 화물칸에서 가져간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고 머리를 긁적였다.


이 여자는 버스를 내릴 곳에서 내리지 않고 신호대기를 받고 정차중인 곳에서 내려달라고 기사께 조르자 기사는 문을 열어 주었고, 이 때 화물칸을 열어 가방을 가져 간 것으로 생각한 것이다.


일단 버스터미널에서 기사와 함께 그 여자가 내린 지점으로 택시를 타고 가보았지만 이미 사라지고 없었다.


다시 버스터미널로 돌아와 분실물센터에 신고를 한 후 기사께서 한 이틀정도 기다려보고 연락이 없으면 본인이 도의적인 책임을 어느정도 지겠다고 해서 집에 돌아왔다.


얼마 후 “경찰에 신고하는 게 좋겠다”는 기사의 전화를 받고 분실된 곳의 파출소에 신고하고 15일 기사에게 전화를 걸어 어떻게 하실건지를 여쭈어보았다.


기사는 “본인은 책임을 질수가 없으니 법적으로 하라”고 전화를 끊어버렸다. 회사에서 책임을 지지 않을 거라는 말도 덧붙였다.


조 씨는 “정말 황당하고 화가 나서 참을 수가 없었다”며 “정말 고속버스회사와 그 기사분은 책임이 없는가”라고 본보에 항의글을 올렸다.


이에 대해 회사는 약관상 10만원까지 손해를 배상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기사가 손님의 가방을 알고 있었다면 회사가 모두 배상해야 한다. 만약 회사가 약관에 따른 배상밖에 할 수 없다고 한다면 관할 법원에 소액재판을 신청할 수 있다. 2000만원 이내에 대해 한달 이내에 법규에 따라 보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옷의 금액과 버스기사의 인지여부 등 입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