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뱅크'는 22일 "11월 중순 현재 서울지역 아파트 112만9천643가구중 43.3%인 48만8천896가구가 연초에 비해 가격이 하락하거나 상승하더라도 오름폭이 3% 미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같은 상승률은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10월말 현재 연초대비 서울지역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3%)을 밑도는 것이어서 사실상 올해 서울 아파트 10채중 4채는 보유시 손실을 본 셈이다.
권역별로는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권 아파트의 15.7%(17만7천235가구), 비강남권 아파트의 27.6%(31만1천661가구)가 물가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했다.
연초대비 상승률이 3% 미만인 아파트는 강남구에 가장 많은 6만6천412가구가 몰려있었으며, 이어 송파구 6만532가구, 서초구 5만291가구, 양천구 4만8,497가구, 강동구 3만7천362가구 등 순으로 많았다.
부동산뱅크 길진홍 팀장은 "이처럼 '아파트 불패 신화'가 깨진 것은 지난해 집값이 급등한데다 올들어 정부의 돈줄 죄기와 세제 강화로 인해 주택 구매 수요가 급감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