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한국 소비자 10년간 어떻게 변했을까?
상태바
한국 소비자 10년간 어떻게 변했을까?
  • 백상진 기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11.25 08: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 국민의 삶의 모습이 지난 10년간 어떻게 변했을까.

   제일기획은 전국 13-59세 3천600명을 대상으로 가치관과 삶의 방식, 상품구매ㆍ이용실태, 매체 이용실태 등을 조사, 분석한 내용을 담은 '전국소비자 조사 보고서를 25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98년과 올해를 비교했을 때 사회적 관심사는 물가고와 범죄ㆍ사건 등 민생고 측면에서 교육, 투자, 사회복지제도 등 선진화된 영역으로 옮겨가고 있었다.

   우선 국내 정치에 대한 관심도는 1998년 28.7%에서 올해 13.8%로 낮아졌다. 불황타개ㆍ경제살리기(36.6%→17.8%), 범죄ㆍ사건ㆍ비행(27.6%→20.7%), 물가인상(34.4%→26.8%) 등에 관한 관심도 역시 모두 줄었다.

   반면 주식ㆍ증권에 대한 관심도는 4.0%에서 9.3%로 늘었고, 사회복지제도(5.9%→12.1%), 부동산ㆍ주택ㆍ토지(18.2%→32.5%), 교육(25.2%→43.3%) 등도 각각 증가했다.

   직업관은 평생직장의 개념이 희박해지고 더 나은 기회를 찾고자 하는 성향이 증가했다.

   '내가 하는 일만큼 정당한 보수를 못 받고 있다고 느낀다'고 답한 이가 12.8%에서 15.7%로 늘었다. 또한 '직장생활보다 개인생활이 더 중요하다'(11.6%→16.0%), '현재 내가 근무하는 직장이 나의 평생직장이라고 생각한다'(24.8%→9.3%)도 각각 변했다.

   생활방식은 패션과 미용에 관심이 높아지고 여가시간을 활동적으로 즐기려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아름다워질 수 있다면 성형수술을 하는 것도 괜찮다'(20.8%→36.6%), '나와 똑같은 옷을 입은 사람을 보면 그 옷이 입기 싫어진다'(29.5%→41.5%), '주말이나 휴일은 주로 집 밖에서 보낸다'(33.7%→38.2%), '휴가에 힘들게 여행을 가느니 집에서 편히 쉬고 싶을 때가 많다'(61.2%→48.8%)로 삶의 스타일이 적지않게 달라졌다.

   이와 함께 인터넷 이용이 빈번해지고 쇼핑을 하나의 여가로 즐기는 성향도 짙어졌다.

   '각종 상품이나 서비스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자주 접한다'(7.3%→42.1%), '세상에 대한 정보를 주로 TV를 통해 얻는다'(59.6%→40.5%), '쇼핑하는 것이 즐겁다'(43.2%→51.3%), '주로 카드를 쓴다'(17.1%→38.0%) 등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제일기획은 또한 세대별로 13-18세는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S(Speak-up), 19-24세는 능동적인 삶을 추구하는 W(Why not), 25-29세는 자신의 미래을 위해 투자하는 I(Invest) 세대로 각각 특징지었다.

   30-39세는 책임과 임무로부터 자유롭고 싶어하는 T(Task-free), 40-49세는 사회적 책임감이 강한 C(Commitment), 50-59세는 편안한 삶을 추구하는 H(Handy) 세대로 각각 명명했다.

   제일기획 관계자는 "가치관, 직업관, 건강, 교육 등 전반적인 분야에서 자신의 가치를 추구하되 타인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변해가고(SWITCHing) 있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