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농산물 수입 폭증...배추 6.7배, 무는 2.7배
상태바
농산물 수입 폭증...배추 6.7배, 무는 2.7배
  • 뉴스관리자 csnews@csnews.co.kr
  • 승인 2007.11.25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배추.무 등 국내 채소 가격이 재배면적 감소와 작황 부진으로 초강세를 보임에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해 김장철을 앞두고 관련 농산물 수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농수산물유통공사(aT) 농수산물무역정보(KATI) 시스템에 따르면 10월 한 달동안 우리나라는 모두 19만665달러어치(691t)의 배추를 수입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달의 2만8천619달러(106t)와 비교해 금액기준으로 6.7배, 물량 기준으로 6.5배에 이르는 규모다.

   같은 기간 무 역시 작년 동월의 2.7배인 18만2천992달러어치(2.2배 374t)가 들어왔고, 김치 완제품 수입액과 물량도 각각 1천381만1천802달러, 2만7천5t으로 43%, 40%씩 급증했다.

   특히 이 추세대로라면 지난해 처음 무역 역조를 기록한 김치의 경우 올해 적자 폭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올해 들어 10월까지 김치 수입액은 총 8천476만7천754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16% 증가한데 비해 수출(6천15만8천970달러)은 불과 3.1% 늘어 결과적으로 적자가 2천460만8천784달러에 이르고 있다.

   이같은 적자 규모는 작년 같은 기간의 1천473만9천983달러보다 67%나 많을 뿐 아니라 작년 전체 적자인 1천762만7천421달러를 이미 훌쩍 넘어선 것이다.

   수입 상대국을 따져보면, 지난달 들어온 배추.무.김치의 경우 소량(750㎏)의 일본산 배추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국산이었다.

   중국산 수입 김치에 대한 수요 증가는 소비자 조사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이 지난 5~8일 전국 8개 도시 732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김장수요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14.2%가 "중국산 김치를 직접 구입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지난 2005년 4.4%에 불과했던 이 비율은 지난해 10.8%를 거쳐 해마다 높아지는 추세다.

   "중국산 김치의 맛이 국산에 비해 비슷하거나 더 맛있다"는 대답도 작년의 51.9%보다 4.1%포인트 높은 56.0%에 달했다.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