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서울시가 조사한 7월과 9월 주유소 현황에 따르면 자료가 없는 광진구와 종로구를 제외한 23개 구의 주유소 650여개 가운데 지난 1년간 상표가 바뀐 업체는 겨우 7개(1%)였다.
이 중 강남구 남부 주유소와 금천구 가리봉 주유소 등의 6개 주유소는 모두 현대오일뱅크에서 SK인천정유로 상표를 전환한 것이어서 실질적으로 바뀌었다고 할 수 없다는게 업계의 시각이다.
이들 주유소는 과거에 현대정유가 한화에너지(인천정유)를 인수하면서 현대 폴을 달게 됐는데 나중에 현대정유가 다시 한화에너지를 분리하고 난 뒤에도 마케팅력이 강한 현대오일뱅크에 남아있다가 이번에 SK가 인천정유를 인수하면서 옮겨간 것이다.
주유소 업계 한 관계자는 "정유사간 경쟁에 의한 상표 전환이라기보다는 원래 소속으로 돌아간 것이라고 보면 된다"고 말하고 "그나마도 인천정유가 SK에 인수된 뒤 주유소 확보에 적극 나선데 따른 결과이며 예년에는 서울에서 한 해에 1-2건 이상 찾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이와같은 주유소의 폴 교체가 흔치 않은 이유는 정유사들이 경쟁에 따른 비용확대를 어떻게든 막으려고 애쓰기 때문이라고 업계 관계자들은 말했다.
주유소가 임의로 거래 정유사를 바꾸려고 하면 기존 거래업체에서 못바꾸게 할 뿐 아니라 다른 정유사에서 받아주지도 않는다는 것이 이들의 설명이다.
몇년 전 거래 정유사를 바꾼 한 주유소 사장은 "원하는 정유사가 폴 싸움을 할 때까지 몇년을 기다리고 나서야 바꿀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유사들은 주유소 자금 지원 조건 등을 놓고 무리한 경쟁을 벌이다 보면 비용이 늘어나고 결국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게 된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