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온스(대표 엄기안)는 2011년 아시아 최초이자 전세계 3번째로 '엑사블레이트'를 국내에 들여온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장진우(신경외과) 교수가 약 10년간 엑사블레이트를 활용한 고집적 초음파 뇌수술을 집도해 누적 수술 250례를 달성했다고 20일 밝혔다.
휴온스에 따르면 장 교수가 달성한 250례는 전세계 단일 병원에서 집도된 최다 수술 케이스로 전세계 뇌신경 정신질환 분야에서 매우 이례적이면서 뛰어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장 교수는 특히 본태성 진전(Tremor) 등 뇌질환 치료에서 뛰어난 치료 효과를 입증해냈다.
장 교수는 2011년부터 엑사블레이트로 뇌·신경·정신질환에 대한 연구도 이어오고 있다. 2015년에는 세계 최초로 엑사블레이트를 활용해 뇌혈관장벽(BBB) 개방을 통한 뇌질환 치료에 성공했으며 이후 5차례 수술에서도 성공을 거둔 바 있다. 올해는 만성 뇌·신경질환 분야 고집적 초음파 치료 연구도 시작했다.

지난 9월에는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김찬형(정신건강의학과) 교수 및 명지병원 장진구(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함께 연구한 치료저항성 우울증 치료 효과를 국제학술지 '양극성장애(Bipolar disorders, 영향력지수 5.41)'에 발표했다.
휴온스 측은 약물 병합 치료와 전기경련치료(ECT)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았던 치료저항성 우울증 환자들이 고집적 초음파로 뇌수술을 한지 1년 넘게 큰 합병증 없이 우울 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다는 점에서 연구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객관적 우울증 평가(HAM-D)와 주관적 우울증 평가(BDI)에서도 유의미한 치료 효과가 나타났다.
엑사블레이트를 이용한 뇌질환 수술은 두개골을 직접 열어야 했던 기존 방식이 아니여서 출혈, 감염 등으로부터 위험이 없고 의료진이 자기공명영상(MRI)를 통해 실시간으로 치료 부위를 모니터링해 오차 범위가 1mm 이내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수술 시간이 짧고 일상 생활로의 빠른 복귀도 가능하다.
휴온스 엄기안 대표는 "엑사블레이트 뉴로를 활용한 고집적 초음파 연구가 전세계에서 활발히 진행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250례라는 대기록과 함께 치료저항성 우울증 치료 효과라는 의미있는 성과를 얻게 돼 감사하다"고 말했다.
이어 "엑사블레이트 뉴로는 전세계 66개 병원에서 수전증, 파킨슨병, 강박장애, 본태성 진전, 신경병증성 통증, 간질, 뇌종양, 알츠하이머병, 우울증, 강박증 등 매우 다양한 뇌질환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휴온스도 국내 대학병원 뇌·신경·정신질환 분야 의료진들과 공동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적응증 획득과 치료 표준 등을 제시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이스라엘 생명공학 기업 인사이텍(Insightec)이 개발한 엑사블레이트는 고집적 초음파를 이용해 뇌기능 이상을 유발하는 특정 조직에 열을 가해 제거시키는 의료기기다. 비침습적 무혈 수술이 가능하고 의료진이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수술 부위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한 수술이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11월부터 휴온스가 독점 판권을 확보해 유통하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