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하기 
기획 & 캠페인
500대 기업 올해 R&D투자 증가...삼성전자·LG전자·SK하이닉스 등 6곳 1조 이상 투자
상태바
500대 기업 올해 R&D투자 증가...삼성전자·LG전자·SK하이닉스 등 6곳 1조 이상 투자
  • 박인철 기자 club1007@csnews.co.kr
  • 승인 2020.12.0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대기업이 올해 실적 악화에도 지난 3분기까지 연구개발(R&D) 투자는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500대 기업 중 분기 보고서를 제출하고 R&D 비용을 공시하는 217개 기업을 조사한 결과, 올해 들어 3분기까지 이들 기업의 R&D 비용은 총 40조1561억 원으로 작년 동기(39조3561억 원) 대비 2%(8000억 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매출은 총 1178조6822억 원으로 작년 동기(1238조7595억 원)보다 4.85%(60조773억 원) 줄었다. 매출 감소에도 R&D 투자액은 확대됨에 따라 매출액 대비 R&D 투자 비중은 1년 전(3.18%)보다 0.23%포인트 높아진 3.41%를 기록했다. 

기업들이 코로나19 여파로 매출 규모가 축소된 상황에서도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R&D 투자를 지속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자동차·부품, 생활용품, 석유화학 기업들이 매출 감소에도 R&D 투자를 늘렸고 IT전기전자와 제약업종 기업도 R&D 투자를 확대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R&D 비용이 15조8971억 원으로 규모에서 압도적 1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와 함께 R&D에 1조 원 이상 투자한 LG전자, SK하이닉스, 현대자동차, LG디스플레이, 기아자동차 6개 기업이 조사대상 기업 전체 R&D 투자액의 65.2%를 차지했다. 

매출 대비 R&D 비중은 네이버가 25%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한미약품, 넷마블, 셀트리온, 엔씨소프트 등 제약과 서비스업종 기업이 상위에 올랐다. 매출 대비 R&D 비중이 1% 이상인 기업은 지난해 92곳에서 올해 96곳으로 늘었다.

IT전기전자의 R&D 투자가 24조7050억 원으로 1년 새 4635억 원, 석유화학업종(1조9630억 원)이 2644억 원 각각 늘었다. 같은 기간 자동차·부품(5조3461억 원)과 제약업종(8777억 원)의 R&D 비용도 1000억 원 이상 증가했다. 이들 4개 업종의 R&D 투자 증가액은 1조460억 원에 달한다. 

반면 조선·기계·설비업종의 R&D 비용(1조7087억 원)은 1년 전보다 1630억 원 줄어 감소 규모가 가장 컸고 △서비스(-749억 원) △공기업(-354억 원) △철강(-288억 원) △건설 및 건자재(-170억 원)업종의 R&D 비용이 모두 100억 원 이상 감소했다. 

매출 대비 R&D 비중은 제약업종이 13.21%로 유일하게 두 자릿수를 기록해 가장 컸다. 이어 △IT전기전자 8.19% △서비스 6.4% △자동차·부품 2.96% △조선·기계·설비 2.55%가 뒤를 이었다. 생활용품(1.73%)과 통신(1.36%), 석유화학업종(1.14%)의 R&D 비중도 1%대를 기록했다.

기업별로는 네이버가 매출 3조7915억 원 중 25.51%(9673억 원)를 R&D에 투자해 조사대상 기업 중 비중이 가장 높았다. 한미약품(23.39%), 넷마블(20.59%)도 매출의 20% 이상을 R&D에 썼고 △셀트리온 18.54% △엔씨소프트 17.63% △대웅제약 15.57% △카카오 13.24% △SK하이닉스 10.98% △유한양행 10.76% △종근당 9.78% 등이 R&D 비중 ‘톱10’을 형성했다.

반면 포스코인터내셔널(0.002%)과 코오롱글로벌‧팜스코(각 0.01%), 팜스토리‧현대엔지니어링‧고려아연(각 0.02%), 포스코에너지‧대한제당‧GS리테일‧BGF리테일(각 0.04%), SK인천석유화학‧삼천리‧금호산업(각 0.05%) 등 19개 기업의 R&D 비중은 0.1%에 못 미쳤다. 

R&D 투자 규모로는 삼성전자가 유일하게 10조 원 이상을 투자해 부동의 1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3분기 누적 매출 175조2555억 원 중 9.07%(15조8971억 원)를 R&D에 지출했다. 매출이 1년 새 2.78%(4조7394억 원) 증가한 가운데 R&D 비용도 3.99%(6094억 원) 늘며 매출 대비 R&D 비중이 0.11%포인트 높아졌다. 

삼성전자에 이어 LG전자의 R&D 투자액이 3조25억 원으로 두 번째로 많았고, SK하이닉스(2조6281억 원)와 현대자동차(2조871억 원)도 2조 원 이상 투자했다. LG디스플레이(1조3287억 원)와 기아자동차(1조2408억 원)도 1조 원대를 투자해 IT전기전자와 자동차·부품업종 기업이 R&D 투자액 상위를 형성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