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의약품 개발 전문 제약사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대표 박소연)가 18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코스피 상장에 따른 회사 성장 가능성과 비전을 밝혔다.
박소연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코스피 시장에 상장한 이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기술협력으로 글로벌 항체의약품 개발 전문 제약회사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2015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회사로 암·류마티스 등에 대한 바이오시밀러 및 항체신약 개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주요 파이프라인은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HD201(EMA 승인 심사)' ▶췌장암 항체신약 'PBP1510(유럽·국내 1/2a상 준비)'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HD204(글로벌 3상)'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PBP1502(유럽 1상 준비)' ▶난치성 고형암 혁신신약 'PBP1710(전임상)' 등이 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총 공모주식수는 1534만1640DR(보통주 예탁증권)로, 주당 공모 희망가는 2만5000원~3만2000원이다. 이번 공모로 약 3835억 원(희망 공모가 밴드 하단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다. 상장 대표 주관사는 삼성증권이다.
이달 19일부터 20일까지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을 진행해 최종 공모가를 확정하고 25일부터 26일까지 양일간 일반 청약을 받은 뒤 2월 초 상장 예정이다.

회사에 따르면 유방암과 전이성 위암 치료제 'HD201'은 전세계 13개국에서 진행된 글로벌 3상에서 오리지널인 로슈 '허셉틴'과 동등한 효능이 입증됐다. 현재 EMA(유럽 의약품청) 시판허가 심사를 받고 있다.
유방암과 폐암, 위암, 대장암, 난소암 등에 사용되는 'HD204(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는 글로벌 3상을 진행 중이며 아바스틴 유럽 특허가 만료되는 시점인 2022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측은 "HD204는 현재 경쟁제품 중 개발 단계가 가장 앞서있다. 유럽 시장을 선점한 이후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췌장암·난소암 항체신약 'PBP1510(Anti-PAUF)'과 난치성 고형암 항체신약 'PBP1710(Anti-CTHRC1)'은 췌장암 진행·전이를 촉진하는 단백질인 PAUF 및 CTHRC1을 표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각각 국내과 유럽 1/2a상을 준비 중이다.
특히 'PBP1510'은 전세계 개발 사례가 없는 만큼 성공적 결과를 얻게 되면 혁신신약(First in Class) 지위 획득과 더불어 초대형 블록버스터급 신약으로 성장이 가능하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지난해 국내와 미국, 유럽에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기도 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PAUF 및 CTHRC1을 기반으로 이중항체, ADC(항체-화학항암제 복합체) 등 다양한 항체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또 전염병 및 노화관련 질환 치료 항체 개발도 추후 착수한다는 계획이다.
박소연 대표는 "상장을 통한 공모자금을 바이오시밀러와 췌장암 항체신약 등 주요 파이프라인의 개발 및 임상시험에 투자할 계획이다. 자체 기술력 확보로 충분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한 만큼 이를 토대로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높여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는 바이오시밀러 후발주자인 만큼 공격적 시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또 리스크가 높은 바이오신약 개발보다는 리스크가 낮은 바이오시밀러 개발에 우선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박 대표는 "바이오신약 개발에 필요한 기술·경험을 축적하면서 실패 위험을 낮춰 안정적 사업활동에 필요한 역량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