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 캠페인
휴메딕스-HLB제약, '장기지속형 비만·당뇨 주사제' 개발 협력
상태바
휴메딕스-HLB제약, '장기지속형 비만·당뇨 주사제' 개발 협력
  • 김경애 기자 seok@csnews.co.kr
  • 승인 2021.03.22 14: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휴메딕스(대표 김진환)가 에이치엘비제약(대표 전복환)과 손잡고 비만·당뇨 치료를 위한 'GLP-1 수용체 작용제' 개량신약 개발에 나선다.

휴메딕스는 에이치엘비제약과 최근 휴메딕스 안양 본사에서 '비만·당뇨 치료용 장기지속형 주사제의 공동연구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현재 시판되는 비만 치료 약물 대부분은 향정신성 의약품으로 장기 복용이 어렵고, 약 중단 시에 오는 요요현상 등의 부작용에도 노출되기 쉽다. 양사는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할 새로운 약물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이번 협약을 체결했다.

비만 치료 약물 중 최근 가장 주목받는 GLP-1 수용체 작용제 또한 혈당제어와 체중감소 효과는 우수하지만 혈당 관리 지속성이 떨어지고 1일 1회 투여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어 보완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양사는 시중의 향정신성 비만 치료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식욕을 억제하고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을 감소해주는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약리 기전과 혈당 관리 지속력을 높인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공동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휴메딕스 김진환 대표(오른쪽)와 에이치엘비제약 전복환 대표
▲▲휴메딕스 김진환 대표(오른쪽)와 에이치엘비제약 전복환 대표
휴메딕스는 에스테틱 사업에서의 전문성과 노하우, 연구 인프라를 제공한다. 에이치엘비제약은 장기지속형 주사제 생산 특허 기술(SMEB®)을 교류하기로 합의했다.

공동 연구개발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후 휴메딕스는 기술 이전 및 독점 판권에 대한 우선협상권을 확보하게 되며 이에 대한 로열티를 에이치엘비제약에 지급하게 된다.

휴메딕스 김진환 대표는 "전세계적으로 비만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자 질병으로 안전하고 지속적으로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 개발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양사의 기술과 전문성·생산력을 결합한다면 전세계 비만 당뇨 치료제 시장에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약물이 탄생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에이치엘비제약 전복환 대표는 "휴메딕스는 비만·당뇨 치료제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최적의 파트너로 최대의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휴메딕스와 비만·당뇨 치료제뿐 아니라 여타 혁신 의약품 개발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약품 시장 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지난해 비만치료제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6.6% 성장한 1430억 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세계 비만·당뇨병 치료제 시장도 2015년부터 꾸준히 성장해 오는 2022년 1632억 달러(약 185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


주요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