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에서는 동성제약에서 자체 개발한 광과민제(DSP 1944)를 적용한다. 2세대 광과민제보다 순도를 높인 약물로 정맥주사 후 3시간 경과 시 665nm의 파장을 갖는 적색광을 조사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할 수 있다.
DSP 1944는 포르피린 계통과 클로린 계통의 광과민성 물질로 암세포에만 선택적으로 축적돼 광역학 치료(PDT) 약물로 쓰인다. 암 시술 후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대장암, 난소암, 위암의 복막암 치료는 외과적 치료가 어렵고 항암요법 역시 큰 기대를 하기 어려우며 고식적 치료만 행해지고 있다. 회사 측은 "이번 연구는 복막에 전이된 환자를 포기 영역에서 치료 영역으로 편입시킬 수 있는 기회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동성제약은 2세대 광과민제인 '포토론' 허가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3월 12일 연세의료원 세브란스병원과 광역학 치료(PDT) 임상연구 계약을 체결하고 기존 암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국소진행성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
저작권자 ©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